갤럽 148개국 조사…중남미 국민이 가장 행복감 느껴
세계에서 가장 행복감을 느끼는 국민은 중남미의 파나마·파라과이 국민이고, 가장 불행함을 느끼는 국민은 싱가포르 국민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 하위권인 97위를 기록했으며 미국과 중국은 공동 33위, 일본은 59위에 올랐다.
미국 여론조사기관 갤럽은 지난해 148개국에서 15세 이상 국민 1천명씩을 대상으로 일상생활에서 느낀 긍정적 감정을 조사한 결과를 19일(현지시간) 발표했다. 갤럽은 조사 대상자에게 어제 생활에서 ▲잘 쉬었다고 생각하는지 ▲하루종일 존중받았는지 ▲많이 웃었는지 ▲재미있는 일을 했거나 배웠는지 ▲즐겁다고 많이 느꼈는지 등 5가지 질문을 한 뒤 "그렇다"고 답한 비율에 따라 순위를 매겼다.
파나마와 파라과이 국민은 85%가 그렇다고 답해 세계에서 가장 행복감을 느끼는 국민 순위 공동 1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엘살바도르, 베네수엘라, 트리니다드 토바고, 과테말라와 필리핀, 에콰도르, 코스타리카 등이 81% 이상의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10위권에 들었다.
중남미 외에서 10위권에 든 국가는 태국과 필리핀뿐이었다.
한국은 63%가 그렇다고 답해 그리스, 몽골, 카자흐스탄, 체코 등과 함께 공동 97위를 기록했다. 이와는 반대로 싱가포르의 경우 응답자의 46%만이 어제 생활에서 긍정적인 감정을 느꼈다고 답해 가장 불행함을 느끼는 국민으로 조사됐다. 이어 아르메니아(49%) 이라크(50%) 조지아(52%) 예멘(52%) 세르비아(52%) 벨라루스(53%) 리투아니아(54%) 마다가스카르(54%)등이 하위권에 속했다.
세계 전체적으로 보면 85%의 응답자가 어제 하루 존중받았다고 생각했으며 72~73%가 어제 많이 웃었고 잘 쉬었으며 즐거웠다고 대답했다. 다만, 어제 재미있는 일을 했거나 배웠느냐는 질문에는 43%만이 그렇다고 답변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국민소득이나, 수명, 대학 진학률 등의 객관적 지표와 국민이 느끼는 행복감과는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이번 조사결과를 놓고 정부가 당면한 문제를 무시하는 수단으로 대중의 행복감을 악용해서는 안 된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또 실제 감정과 무관하게 부정적 답변을 하지 않으려는 중남미 국민들의 성향 때문에 조사가 왜곡됐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행복감을 느끼는 국민은 중남미의 파나마·파라과이 국민이고, 가장 불행함을 느끼는 국민은 싱가포르 국민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 하위권인 97위를 기록했으며 미국과 중국은 공동 33위, 일본은 59위에 올랐다.
미국 여론조사기관 갤럽은 지난해 148개국에서 15세 이상 국민 1천명씩을 대상으로 일상생활에서 느낀 긍정적 감정을 조사한 결과를 19일(현지시간) 발표했다. 갤럽은 조사 대상자에게 어제 생활에서 ▲잘 쉬었다고 생각하는지 ▲하루종일 존중받았는지 ▲많이 웃었는지 ▲재미있는 일을 했거나 배웠는지 ▲즐겁다고 많이 느꼈는지 등 5가지 질문을 한 뒤 "그렇다"고 답한 비율에 따라 순위를 매겼다.
파나마와 파라과이 국민은 85%가 그렇다고 답해 세계에서 가장 행복감을 느끼는 국민 순위 공동 1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엘살바도르, 베네수엘라, 트리니다드 토바고, 과테말라와 필리핀, 에콰도르, 코스타리카 등이 81% 이상의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10위권에 들었다.
중남미 외에서 10위권에 든 국가는 태국과 필리핀뿐이었다.
한국은 63%가 그렇다고 답해 그리스, 몽골, 카자흐스탄, 체코 등과 함께 공동 97위를 기록했다. 이와는 반대로 싱가포르의 경우 응답자의 46%만이 어제 생활에서 긍정적인 감정을 느꼈다고 답해 가장 불행함을 느끼는 국민으로 조사됐다. 이어 아르메니아(49%) 이라크(50%) 조지아(52%) 예멘(52%) 세르비아(52%) 벨라루스(53%) 리투아니아(54%) 마다가스카르(54%)등이 하위권에 속했다.
세계 전체적으로 보면 85%의 응답자가 어제 하루 존중받았다고 생각했으며 72~73%가 어제 많이 웃었고 잘 쉬었으며 즐거웠다고 대답했다. 다만, 어제 재미있는 일을 했거나 배웠느냐는 질문에는 43%만이 그렇다고 답변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국민소득이나, 수명, 대학 진학률 등의 객관적 지표와 국민이 느끼는 행복감과는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이번 조사결과를 놓고 정부가 당면한 문제를 무시하는 수단으로 대중의 행복감을 악용해서는 안 된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또 실제 감정과 무관하게 부정적 답변을 하지 않으려는 중남미 국민들의 성향 때문에 조사가 왜곡됐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