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종양 비수술 비강내주입치료법 도입‥밝혀진 사실에 근거한 치료 효과
최근 국내 뇌종양의 발생빈도가 연간 인구 10만명당 11.69명으로 나타났다. 그 중 30.7%가 악성종양으로 알려져 암에 대한 국민건강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이는 전체 악성종양의 2% 미만을 차지하는 것으로 암 중 뇌종양이 차지하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적다. 하지만 15세 미안의 소아아동을 대상으로 한 통계에 의하면 전체 악성종양의 20~40%가 뇌종양으로 백혈병으로 대표되는 림프-조혈계 종양에 이어 두 번째로 발생빈도가 높다. 따라서 소아의 경우 뇌종양이 굉장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문제는 뇌종양의 대한 확실한 치료법을 찾지 못하고 있는 것이 지적되고 있다. 뇌종양은 절제를 하여 수술을 하는 것이 가장 확실하지만, 절제 부위에 따라 평생 언어나 운동, 감강 등의 장애를 안고 살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완전절제가 불가능한 경우도 많아 수술이 뇌종양에 대한 완벽한 치료법이 되기에는 아직 부족함이 많다.
게다가 수술 이외에 방사선 요법이나 항암요법을 이용할 수 있지만, 항암의 경우 뇌 실질조직내로 이물질의 접근을 막는 혈뇌장벽(blood brain barrier)의 존재로 인해 종양 조직에 도달하는 약제의 양이 매우 적을 수 밖에 없고, 장기간 혈중농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항암약제의 경우에도 확산에 의해 종양조직 내에 충분한 농도에 이르기 어려워, 만족할만한 효과를 내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 개발되어 다른 암종에 대해 훌륭한 효과를 내는 표적치료제들도 유독 뇌종양에는 혈뇌장벽에 막혀 기대이하의 치료성적을 내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충분한 양의 항암제를 종양조직에 도달하게 하기 위해 만니톨(mannitol)과 같은 약재를 이용하여 혈뇌장벽(blood brain barrier)을 파괴하기도 하고, 뇌척수액이나 동맥을 통해 약제를 주입하기도 한다. 하지만, 혈뇌장벽(blood brain barrier)을 파괴할 경우 많은 양의 항암제가 짧은 시간에 정상뇌에 들어가 증상악화를 일으키거나 간질발작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최근 다양한 암종에 대한 치료법으로 떠오르고 있는 ‘양·한방 협진클리닉’을 통한 ‘면역요법’의 경우 체내 저하된 면역기능 때문에 암세포가 증식하고, 암이 진행되어 숙주의 면역력이 저하되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는 것을 목표로 하는 치료법이다. 즉 환자 몸에서 장상 작동하지 못했던 면역시스템을 복구하여 암을 치료하는 것이다.
양·한방 협진클리닉을 통한 면역요법으로 소람한의원의 경우 면역력을 키우기 위해 한약재의 추출물을 이용한 약침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면역력을 키운다고 알려진 한약재를 현대적인 방법으로 가공하여 임상에 적용하면서 치료율을 높이고 있다. 하지만 이마저도 뇌종양에 적용할 때는 혈뇌장벽(blood brain barrier)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소람한의원에서 새롭게 도입한 ‘비강내주입 치료법’은 이 혈뇌장벽(blood brain barrier)의 문제를 산삼의 추출물인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성분이 뇌종양을 비롯한 다수 암종의 세포들을 사멸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약학분야의 세계적 권위지인 Biol. Pharm. Bull.의 2011년 8월호에 실린 논문의 연구에 따르면 비강내주입치료법을 사용할 경우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가 비강의 상측 벽에 있는 후각상피를 통해 뇌실질조직으로 바로 들어갈 수 있다.
또한 신경학 분야의 권위지인 Neuroscience의 2012년에 실린 논문에 의하면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를 비강내주입법으로 점적할 경우 신경계보호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그림1은 그 결과를 보여주는 그림으로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를 투약한 B의 경우 그렇지 않은 A보다 뇌조직이 파괴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J. Zhu et al. / Neuroscience 202 (2012) Fig.1에서 발췌함.
뇌종양은 인구 10만명당 12명꼴로 뇌종양이 발생한 셈인 만큼 흔한 병은 아니다. 하지만 후유장애가 커서 사회적 비용이 막대하고 절반 가량은 치료가 쉽지 않은 악성이기 때문에 사망률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전이성 뇌종양의 경우에는 정확한 통계가 아직 없으나 국립암센터 자체 자료를 보면 전체 뇌종양의 약 절반이 전이성 뇌종양이어서 원발성 뇌종양과 비슷한 수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때문에 양·한방 협진클리닉을 통한 면역요법으로 생존기간이 현저하게 늘었으며, 지금도 새로운 치료법들이 속속 나오고 있다. 암과의 전쟁이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된 것이며, 그 중심에 면역요법을 통한 면역력 강화가 새롭게 관심을 받고 있다.
최근 국내 뇌종양의 발생빈도가 연간 인구 10만명당 11.69명으로 나타났다. 그 중 30.7%가 악성종양으로 알려져 암에 대한 국민건강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이는 전체 악성종양의 2% 미만을 차지하는 것으로 암 중 뇌종양이 차지하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적다. 하지만 15세 미안의 소아아동을 대상으로 한 통계에 의하면 전체 악성종양의 20~40%가 뇌종양으로 백혈병으로 대표되는 림프-조혈계 종양에 이어 두 번째로 발생빈도가 높다. 따라서 소아의 경우 뇌종양이 굉장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문제는 뇌종양의 대한 확실한 치료법을 찾지 못하고 있는 것이 지적되고 있다. 뇌종양은 절제를 하여 수술을 하는 것이 가장 확실하지만, 절제 부위에 따라 평생 언어나 운동, 감강 등의 장애를 안고 살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완전절제가 불가능한 경우도 많아 수술이 뇌종양에 대한 완벽한 치료법이 되기에는 아직 부족함이 많다.
게다가 수술 이외에 방사선 요법이나 항암요법을 이용할 수 있지만, 항암의 경우 뇌 실질조직내로 이물질의 접근을 막는 혈뇌장벽(blood brain barrier)의 존재로 인해 종양 조직에 도달하는 약제의 양이 매우 적을 수 밖에 없고, 장기간 혈중농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항암약제의 경우에도 확산에 의해 종양조직 내에 충분한 농도에 이르기 어려워, 만족할만한 효과를 내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 개발되어 다른 암종에 대해 훌륭한 효과를 내는 표적치료제들도 유독 뇌종양에는 혈뇌장벽에 막혀 기대이하의 치료성적을 내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충분한 양의 항암제를 종양조직에 도달하게 하기 위해 만니톨(mannitol)과 같은 약재를 이용하여 혈뇌장벽(blood brain barrier)을 파괴하기도 하고, 뇌척수액이나 동맥을 통해 약제를 주입하기도 한다. 하지만, 혈뇌장벽(blood brain barrier)을 파괴할 경우 많은 양의 항암제가 짧은 시간에 정상뇌에 들어가 증상악화를 일으키거나 간질발작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최근 다양한 암종에 대한 치료법으로 떠오르고 있는 ‘양·한방 협진클리닉’을 통한 ‘면역요법’의 경우 체내 저하된 면역기능 때문에 암세포가 증식하고, 암이 진행되어 숙주의 면역력이 저하되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는 것을 목표로 하는 치료법이다. 즉 환자 몸에서 장상 작동하지 못했던 면역시스템을 복구하여 암을 치료하는 것이다.
양·한방 협진클리닉을 통한 면역요법으로 소람한의원의 경우 면역력을 키우기 위해 한약재의 추출물을 이용한 약침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면역력을 키운다고 알려진 한약재를 현대적인 방법으로 가공하여 임상에 적용하면서 치료율을 높이고 있다. 하지만 이마저도 뇌종양에 적용할 때는 혈뇌장벽(blood brain barrier)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소람한의원에서 새롭게 도입한 ‘비강내주입 치료법’은 이 혈뇌장벽(blood brain barrier)의 문제를 산삼의 추출물인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성분이 뇌종양을 비롯한 다수 암종의 세포들을 사멸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약학분야의 세계적 권위지인 Biol. Pharm. Bull.의 2011년 8월호에 실린 논문의 연구에 따르면 비강내주입치료법을 사용할 경우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가 비강의 상측 벽에 있는 후각상피를 통해 뇌실질조직으로 바로 들어갈 수 있다.
또한 신경학 분야의 권위지인 Neuroscience의 2012년에 실린 논문에 의하면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를 비강내주입법으로 점적할 경우 신경계보호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그림1은 그 결과를 보여주는 그림으로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를 투약한 B의 경우 그렇지 않은 A보다 뇌조직이 파괴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J. Zhu et al. / Neuroscience 202 (2012) Fig.1에서 발췌함.
뇌종양은 인구 10만명당 12명꼴로 뇌종양이 발생한 셈인 만큼 흔한 병은 아니다. 하지만 후유장애가 커서 사회적 비용이 막대하고 절반 가량은 치료가 쉽지 않은 악성이기 때문에 사망률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전이성 뇌종양의 경우에는 정확한 통계가 아직 없으나 국립암센터 자체 자료를 보면 전체 뇌종양의 약 절반이 전이성 뇌종양이어서 원발성 뇌종양과 비슷한 수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때문에 양·한방 협진클리닉을 통한 면역요법으로 생존기간이 현저하게 늘었으며, 지금도 새로운 치료법들이 속속 나오고 있다. 암과의 전쟁이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된 것이며, 그 중심에 면역요법을 통한 면역력 강화가 새롭게 관심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