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을 설레이게 하는 봄이 왔다. 남녀의 소개팅도 늘어나는 계절이기도 하다. 때문에 소개팅과 관련된 에피소드들도 많아지기 마련이다. 그 중 소개팅 당시에는 몰랐지만 소개팅이 끝난 후 알고보니 ‘비호감’인 상대에는 어떤 유형이 있을까?
결혼정보회사 가연(대표이사 김영주)의 프리미엄 매칭 사이트 안티싱글(www.antisingle.com)에서 미혼남녀 338명(남성 165명, 여성 173명)을 대상으로 ’소개팅 전후가 달라!’ 소개팅 후 가장 비호감인 상대는 어떤 사람?`이라는 주제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소개팅이 끝난 후 알고 보니 ‘비호감’인 상대의 유형에 대해 미혼여성들은 다음과 같이 답변했다.
‘일부러 피하는데’ 눈치없이 계속 연락하는 사람’이 40%로 1위를 차지했다. 거절의 의미를 담아 연락을 피하는 것임에도 아는지 모르는지 계속해서 연락을 해오는 상대를 여성들은 비호감이라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벌써부터 연인인 것처럼 혼자 앞서가는 사람’이 31%로 2위, ‘알고보니 소개팅 전 알던 이성과 나를 저울질하는 사람’이 14%로 3위, ‘잘 안 된 소개팅, 내 험담 퍼뜨리는 사람’이 9%로 4위, ‘알면 알수록 소개팅 때의 허풍이 밝혀지는 사람’이 6%로 5위에 올랐다.
다음으로 미혼남성들의 응답을 들어봤다.
38%는 ‘알고보니 소개팅 전 알던 이성과 나를 저울질하는 사람’이라고 답했다. 소개팅 전부터 소위 ‘썸씽’ 중인 이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개팅에 나와서 그 이성과 나를 저울질하는 상대를 미혼남성들은 가장 비호감이라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는 ‘애프터 신청에 좋다 싫다 얘기도 없이 묵살하는 사람’이라고 답했다. 24%는 ‘마음에 들지 않아 애프터 안 했더니 내 험담 퍼뜨리는 사람’이라 답했으며 5%는 ‘두 번째 만남도 내가 다 해주길 바라는 사람’, 3%는 ‘자기가 얘기하면 되는데 주선자를 시키거나 들볶는 사람’이라고 답변했다.
가연결혼정보 박미숙 이사는 "설문조사 결과 애프터에 대한 여성과 남성의 입장이 매우 판이한 것으로 드러났다“며 “여성은 애프터에 딱 잘라 거절하기 보다 자신의 거절 의사를 자연스럽게 알아주길 바라는 반면, 남성은 ‘좋다 싫다’에 대한 의사 표현을 해주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결혼정보회사 가연(대표이사 김영주)의 프리미엄 매칭 사이트 안티싱글(www.antisingle.com)에서 미혼남녀 338명(남성 165명, 여성 173명)을 대상으로 ’소개팅 전후가 달라!’ 소개팅 후 가장 비호감인 상대는 어떤 사람?`이라는 주제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소개팅이 끝난 후 알고 보니 ‘비호감’인 상대의 유형에 대해 미혼여성들은 다음과 같이 답변했다.
‘일부러 피하는데’ 눈치없이 계속 연락하는 사람’이 40%로 1위를 차지했다. 거절의 의미를 담아 연락을 피하는 것임에도 아는지 모르는지 계속해서 연락을 해오는 상대를 여성들은 비호감이라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벌써부터 연인인 것처럼 혼자 앞서가는 사람’이 31%로 2위, ‘알고보니 소개팅 전 알던 이성과 나를 저울질하는 사람’이 14%로 3위, ‘잘 안 된 소개팅, 내 험담 퍼뜨리는 사람’이 9%로 4위, ‘알면 알수록 소개팅 때의 허풍이 밝혀지는 사람’이 6%로 5위에 올랐다.
다음으로 미혼남성들의 응답을 들어봤다.
38%는 ‘알고보니 소개팅 전 알던 이성과 나를 저울질하는 사람’이라고 답했다. 소개팅 전부터 소위 ‘썸씽’ 중인 이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개팅에 나와서 그 이성과 나를 저울질하는 상대를 미혼남성들은 가장 비호감이라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는 ‘애프터 신청에 좋다 싫다 얘기도 없이 묵살하는 사람’이라고 답했다. 24%는 ‘마음에 들지 않아 애프터 안 했더니 내 험담 퍼뜨리는 사람’이라 답했으며 5%는 ‘두 번째 만남도 내가 다 해주길 바라는 사람’, 3%는 ‘자기가 얘기하면 되는데 주선자를 시키거나 들볶는 사람’이라고 답변했다.
가연결혼정보 박미숙 이사는 "설문조사 결과 애프터에 대한 여성과 남성의 입장이 매우 판이한 것으로 드러났다“며 “여성은 애프터에 딱 잘라 거절하기 보다 자신의 거절 의사를 자연스럽게 알아주길 바라는 반면, 남성은 ‘좋다 싫다’에 대한 의사 표현을 해주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