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재정지출을 늘려도 경기를 부양하는 효과는 예전만 못하다는 보고서를 한국은행이 내놨습니다.
대규모 추가경정예산을 준비하고 있는 정부로선 곤혹스럽게 됐습니다. 신선미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가 경기부양을 위해 푼 돈의 절반도 경기를 띄우지 못한다.’
최진호·손민규 한국은행 과장이 발표한 ‘재정지출의 성장에 대한 영향력 변화와 시사점’에 대한 보고서의 주 내용입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 이전에는 재정지출을 100원 늘릴 경우, 국내총생산은 78원 늘었지만, 2000년 이후에는 44원 늘어나는데 그쳤습니다.
정부가 돈을 풀어 경제성장률을 끌어올렸던 힘이 예전만 못하다는 말입니다.
그렇다면 왜 이렇게 경기부양 효과가 줄었을까?
2000년대 들어 수입의존도가 55%까지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경기부양을 위해 푼 돈이 국내생산을 촉진하기보다는 해외로 빠져나가는 돈이 많았다는 것입니다.
여기에 성장률 제고효과가 큰 건설투자 사업이나 일자리 창출 사업과 같은 경제사업에 나랏돈을 줄인 것도 한 몫 했습니다.
따라서 경기부양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나랏돈을 어떻게 쓸 것인지가 중요하다고 밝혔습니다.
1천조원에 육박하는 가계부채로 살림살이가 나빠진 취약계층(저소득층, 고령층)에 지원을 집중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쓸 돈이 없었던 취약계층은(유동성 제약가구) 정부가 지원해 준 돈을 저축하기보다 모두 소비해 경기 활력에 도움을 줄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또 과잉투자가 일어난 건설 부문보다 연구개발, 소프트웨어 등 무형투자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12조원 이상의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예고하며 3% 이상의 성장률을 목표로 내건 정부.
경제 회복을 위해 금리인하를 압박받는 한은이 재정의 경기부양 효과는 크지 않으며 그나마도 돈을 제대로 써야 한다며 맞불을 놓고 있습니다.
한국경제 TV 신선미입니다.
대규모 추가경정예산을 준비하고 있는 정부로선 곤혹스럽게 됐습니다. 신선미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가 경기부양을 위해 푼 돈의 절반도 경기를 띄우지 못한다.’
최진호·손민규 한국은행 과장이 발표한 ‘재정지출의 성장에 대한 영향력 변화와 시사점’에 대한 보고서의 주 내용입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 이전에는 재정지출을 100원 늘릴 경우, 국내총생산은 78원 늘었지만, 2000년 이후에는 44원 늘어나는데 그쳤습니다.
정부가 돈을 풀어 경제성장률을 끌어올렸던 힘이 예전만 못하다는 말입니다.
그렇다면 왜 이렇게 경기부양 효과가 줄었을까?
2000년대 들어 수입의존도가 55%까지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경기부양을 위해 푼 돈이 국내생산을 촉진하기보다는 해외로 빠져나가는 돈이 많았다는 것입니다.
여기에 성장률 제고효과가 큰 건설투자 사업이나 일자리 창출 사업과 같은 경제사업에 나랏돈을 줄인 것도 한 몫 했습니다.
따라서 경기부양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나랏돈을 어떻게 쓸 것인지가 중요하다고 밝혔습니다.
1천조원에 육박하는 가계부채로 살림살이가 나빠진 취약계층(저소득층, 고령층)에 지원을 집중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쓸 돈이 없었던 취약계층은(유동성 제약가구) 정부가 지원해 준 돈을 저축하기보다 모두 소비해 경기 활력에 도움을 줄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또 과잉투자가 일어난 건설 부문보다 연구개발, 소프트웨어 등 무형투자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12조원 이상의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예고하며 3% 이상의 성장률을 목표로 내건 정부.
경제 회복을 위해 금리인하를 압박받는 한은이 재정의 경기부양 효과는 크지 않으며 그나마도 돈을 제대로 써야 한다며 맞불을 놓고 있습니다.
한국경제 TV 신선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