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앞서 보신 것 처럼 이번 담화를 계기로 폐쇄적인 공직 사회, 기관장 등에 대한 대대적인 수술이 불가피해 졌습니다. 공무원 출신 기관장들은 연임은 고사하고 중도사퇴 압박에 직면하게 될 전망입니다. 이어서 김정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대통령의 대국민담화를 지켜본 관가는 ‘올 것이 왔다’는 반응입니다.
<인터뷰> 박근혜 대통령
“우리 공직사회를 근본적으로 바꾸기 위한 개혁이 필요합니다”
현재 공석중인 기관장 인선에서 관료 출신은 철저히 배제될 것이 너무도 자명하기 때문입니다.
현재 공모가 진행중인 공공기관에서 일부 관료 출신 후보군은 아예 포기하는 분위기입니다.
기관장이 공석중인 강원랜드, 인천공항공사, 세월호 참사로 수장이 사퇴해 공석이 된 선박안전기술공단, 한국해운조합 등에 관료 출신은 배제될 공산이 높습니다.
연내 임기가 끝나는 현직 기관장들 역시 대국민담화의 여파에 바짝 숨죽인 상황.
세월호 참사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인천항만공사 사장, 어촌어항협회 이사장의 임기는 8월에 만료되고 울산항만공사 사장 역시 12월이면 임기가 종료됩니다.
한국산업인력공단 이사장은 6월, 교통안전공단 이사장은 8월, KOTRA 사장의 임기는 11월이면 끝나는 가운데 이들 수장들은 연임은 고사하고 중도 퇴임마저 고민해야할 판입니다.
금융권 역시 재정부와 한은, 금감원 출신 기관장과 감사 등이 대거 포진해 있어 이번 일로 자칫 불똥이 튀지 않을 까 전전긍긍하고 있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공공기관 관계자는 새로 임명하는 기관장은 몰라도 현직까지 거론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조심스레 내비쳤습니다.
<인터뷰> 공공기관 관계자
“임기가 남아 있는 기관장을 어떻게 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를 창출하기 때문에”
관가 안팎에서는 대통령이 직접 공직 부실 척결을 강조한 만큼 세월호 책임론, 관피아 논란속에 새로 임명할 때나 현직 기관장에 까지 어떤 형태로든 손을 대지 않겠냐는 견해입니다.
일각에서는 무조건적인 관료 출신 배척만이 공직 개혁의 능사는 아니라며 인선 과정의 투명성 제고, 사후 견제시스템 구축의 계기로 삼아야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인터뷰> 학계 전문가
“나름대로 매뉴얼이라고 하는 것은 이미 다 있었다. 그동안 그런 것들을 형식적으로 만들어 놓고 실제 그것을 따르지 않은 것이 문제”
세월호 사태를 계기로 관피아·낙하산 개혁이 어느 정도 효과를 거둘 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반신반의 하는 가운데 위기감이 감도는 관가, 기관장들은 숨 죽인 채 사태추의를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김정필입니다.
앞서 보신 것 처럼 이번 담화를 계기로 폐쇄적인 공직 사회, 기관장 등에 대한 대대적인 수술이 불가피해 졌습니다. 공무원 출신 기관장들은 연임은 고사하고 중도사퇴 압박에 직면하게 될 전망입니다. 이어서 김정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대통령의 대국민담화를 지켜본 관가는 ‘올 것이 왔다’는 반응입니다.
<인터뷰> 박근혜 대통령
“우리 공직사회를 근본적으로 바꾸기 위한 개혁이 필요합니다”
현재 공석중인 기관장 인선에서 관료 출신은 철저히 배제될 것이 너무도 자명하기 때문입니다.
현재 공모가 진행중인 공공기관에서 일부 관료 출신 후보군은 아예 포기하는 분위기입니다.
기관장이 공석중인 강원랜드, 인천공항공사, 세월호 참사로 수장이 사퇴해 공석이 된 선박안전기술공단, 한국해운조합 등에 관료 출신은 배제될 공산이 높습니다.
연내 임기가 끝나는 현직 기관장들 역시 대국민담화의 여파에 바짝 숨죽인 상황.
세월호 참사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인천항만공사 사장, 어촌어항협회 이사장의 임기는 8월에 만료되고 울산항만공사 사장 역시 12월이면 임기가 종료됩니다.
한국산업인력공단 이사장은 6월, 교통안전공단 이사장은 8월, KOTRA 사장의 임기는 11월이면 끝나는 가운데 이들 수장들은 연임은 고사하고 중도 퇴임마저 고민해야할 판입니다.
금융권 역시 재정부와 한은, 금감원 출신 기관장과 감사 등이 대거 포진해 있어 이번 일로 자칫 불똥이 튀지 않을 까 전전긍긍하고 있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공공기관 관계자는 새로 임명하는 기관장은 몰라도 현직까지 거론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조심스레 내비쳤습니다.
<인터뷰> 공공기관 관계자
“임기가 남아 있는 기관장을 어떻게 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를 창출하기 때문에”
관가 안팎에서는 대통령이 직접 공직 부실 척결을 강조한 만큼 세월호 책임론, 관피아 논란속에 새로 임명할 때나 현직 기관장에 까지 어떤 형태로든 손을 대지 않겠냐는 견해입니다.
일각에서는 무조건적인 관료 출신 배척만이 공직 개혁의 능사는 아니라며 인선 과정의 투명성 제고, 사후 견제시스템 구축의 계기로 삼아야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인터뷰> 학계 전문가
“나름대로 매뉴얼이라고 하는 것은 이미 다 있었다. 그동안 그런 것들을 형식적으로 만들어 놓고 실제 그것을 따르지 않은 것이 문제”
세월호 사태를 계기로 관피아·낙하산 개혁이 어느 정도 효과를 거둘 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반신반의 하는 가운데 위기감이 감도는 관가, 기관장들은 숨 죽인 채 사태추의를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김정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