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의 아이폰이 KT와 SK텔레콤에 이어 LG유플러스에서도 출시됩니다.
애플은 9일(현지시간) 미국 쿠퍼티노 플린트 센터에서 개최한 행사에서 ‘아이폰 6’와 ‘아이폰 6 플러스’를 출시할 전 세계의 LTE 이동통신사 200여개의 명단을 공개하면서 LG유플러스(U+), SK텔레콤, KT 등 한국 이동통신 3사를 모두 포함했습니다.
LG유플러스가 아이폰을 출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KT는 2009년 11월, SK텔레콤은 2011년 3월에 아이폰을 도입한 바 있습니다.
그간 아이폰이 SK텔레콤과 KT에서만 나왔던 것은 최근까지 아이폰이 음성 롱텀에볼루션(VoLTE) 통화를 지원하지 않고 3세대(3G) 통화만 지원했기 때문입니다.
애플이 이날 행사에서 아이폰의 VoLTE 지원을 발표함에 따라 LGU+의 아이폰 도입의 걸림돌이 사라졌습니다.
그동안 SK텔레콤과 KT는 세계 대부분에서 이용돼 호환성이 높은 3G UMTS 음성통화 망을 갖춰 아이폰 등 최신 스마트폰을 도입하는 데 걸림돌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2.75G로 통칭하는 cdma2000 1x EV-DO 리비전 A·B 망을 갖춘 LGU+는 단말기 수급에 어려움을 겪어왔습니다.
LGU+는 이를 타개하기 위해 2.5G 망을 쓰지 않고 음성통화를 VoLTE로만 사용하는 `싱글LTE` 서비스를 시작했지만 아이폰은 5s까지 VoLTE 지원이 이뤄지지 않아 사용할 수 없었습니다.
아이폰의 국내 점유율은 5∼10% 정도로 낮지만 그러나 스마트폰 시대를 선도한 제품이라는 상징적 의미가 있습니다.
국내 3사 이동통신사가 모두 아이폰을 도입하면서 단말기 수급 경쟁력이 평준화됨에 따라 앞으로의 이동통신 3사의 요금과 서비스 경쟁이 주목됩니다.
애플은 9일(현지시간) 미국 쿠퍼티노 플린트 센터에서 개최한 행사에서 ‘아이폰 6’와 ‘아이폰 6 플러스’를 출시할 전 세계의 LTE 이동통신사 200여개의 명단을 공개하면서 LG유플러스(U+), SK텔레콤, KT 등 한국 이동통신 3사를 모두 포함했습니다.
LG유플러스가 아이폰을 출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KT는 2009년 11월, SK텔레콤은 2011년 3월에 아이폰을 도입한 바 있습니다.
그간 아이폰이 SK텔레콤과 KT에서만 나왔던 것은 최근까지 아이폰이 음성 롱텀에볼루션(VoLTE) 통화를 지원하지 않고 3세대(3G) 통화만 지원했기 때문입니다.
애플이 이날 행사에서 아이폰의 VoLTE 지원을 발표함에 따라 LGU+의 아이폰 도입의 걸림돌이 사라졌습니다.
그동안 SK텔레콤과 KT는 세계 대부분에서 이용돼 호환성이 높은 3G UMTS 음성통화 망을 갖춰 아이폰 등 최신 스마트폰을 도입하는 데 걸림돌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2.75G로 통칭하는 cdma2000 1x EV-DO 리비전 A·B 망을 갖춘 LGU+는 단말기 수급에 어려움을 겪어왔습니다.
LGU+는 이를 타개하기 위해 2.5G 망을 쓰지 않고 음성통화를 VoLTE로만 사용하는 `싱글LTE` 서비스를 시작했지만 아이폰은 5s까지 VoLTE 지원이 이뤄지지 않아 사용할 수 없었습니다.
아이폰의 국내 점유율은 5∼10% 정도로 낮지만 그러나 스마트폰 시대를 선도한 제품이라는 상징적 의미가 있습니다.
국내 3사 이동통신사가 모두 아이폰을 도입하면서 단말기 수급 경쟁력이 평준화됨에 따라 앞으로의 이동통신 3사의 요금과 서비스 경쟁이 주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