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앞서 봤듯이 제일모직의 연내 상장이 가시화 됨에 따라 상장 후 적정주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하겠습니다. 신동호 기자
<기자>
상장을 준비중인 제일모직이 액면가를 100원으로 낮춰도 시장에서는 상장주가를 최대 10만원까지 예상하고 있습니다.
현재 시장에서는 제일모직의 주당가치에 대해 액면가를 기존 5000원으로 할 경우 액면가와 장부가, 기업가치 등을 반영했을때 적정 주가를 400만원까지도 전망하고 있습니다.
제일모직의 발행주식이 총수 일가와 계열사물량 KCC 보유지분 등을 제외하면 장외시장 유통물량이 사실상 전무한 상태라
주식가치가 천정부지로 뛰어오른 것입니다.
때문에 주식수를 늘리고 시장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해 제일모직은 액면가를 5000원에서 100원으로 낮추기로 결정했는데요.
400만원이라는 다소 시장에서 유통하기 부담스러운 가격때문에 액면가를 낮췄지만 상장 후 여전히 10만원이라는 높은 금액으로 거래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이 가격 또한 향후 제일모직의 기업가치를 봤을때 더 오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우선 다각화되어 있는 사업구조를 구축하고 있어 경기변동에 민감하지 않고 안정적인 수익성 확보를 가능하게 한다는 것인데요.
특히 패션과 FC사업부문의 글로벌 성장 등을 눈여겨보고 있고요.
이를 비롯해 삼성그룹 바이오 관련 신수종사업에서 핵심이 될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성장성 극대화 등이 항후 제일모직 기업가치 상승 가능성을 증대 시킬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또 제일모직은 향후 그룹 지배구조 개편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가능성이 높은데요.
통상적으로 총수 일가가 지분을 가진 기업이 상장되면서 가치가 급등했던 이전 사례와 비교할 때 공모시장에서 투자자들의 관심을 충분히 끌게 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설명했습니다.
다만 일각에서는 밸류에이션 제고를 위한 자산 재평가를 실시하지 않고 영위하고 있는 사업이 큰 폭의 실적을 기대하기 힘든 업종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예상만큼 흥행을 거두기 힘들 것이라는 의견도 나왔습니다.
지금까지 한국거래소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앞서 봤듯이 제일모직의 연내 상장이 가시화 됨에 따라 상장 후 적정주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하겠습니다. 신동호 기자
<기자>
상장을 준비중인 제일모직이 액면가를 100원으로 낮춰도 시장에서는 상장주가를 최대 10만원까지 예상하고 있습니다.
현재 시장에서는 제일모직의 주당가치에 대해 액면가를 기존 5000원으로 할 경우 액면가와 장부가, 기업가치 등을 반영했을때 적정 주가를 400만원까지도 전망하고 있습니다.
제일모직의 발행주식이 총수 일가와 계열사물량 KCC 보유지분 등을 제외하면 장외시장 유통물량이 사실상 전무한 상태라
주식가치가 천정부지로 뛰어오른 것입니다.
때문에 주식수를 늘리고 시장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해 제일모직은 액면가를 5000원에서 100원으로 낮추기로 결정했는데요.
400만원이라는 다소 시장에서 유통하기 부담스러운 가격때문에 액면가를 낮췄지만 상장 후 여전히 10만원이라는 높은 금액으로 거래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이 가격 또한 향후 제일모직의 기업가치를 봤을때 더 오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우선 다각화되어 있는 사업구조를 구축하고 있어 경기변동에 민감하지 않고 안정적인 수익성 확보를 가능하게 한다는 것인데요.
특히 패션과 FC사업부문의 글로벌 성장 등을 눈여겨보고 있고요.
이를 비롯해 삼성그룹 바이오 관련 신수종사업에서 핵심이 될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성장성 극대화 등이 항후 제일모직 기업가치 상승 가능성을 증대 시킬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또 제일모직은 향후 그룹 지배구조 개편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가능성이 높은데요.
통상적으로 총수 일가가 지분을 가진 기업이 상장되면서 가치가 급등했던 이전 사례와 비교할 때 공모시장에서 투자자들의 관심을 충분히 끌게 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설명했습니다.
다만 일각에서는 밸류에이션 제고를 위한 자산 재평가를 실시하지 않고 영위하고 있는 사업이 큰 폭의 실적을 기대하기 힘든 업종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예상만큼 흥행을 거두기 힘들 것이라는 의견도 나왔습니다.
지금까지 한국거래소에서 전해드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