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시중 단기 부동자금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저금리와 증시 불안에 시중에 떠도는 돈이 930조원을 넘어섰습니다.
이 돈이 어디로 흘러갈까요? 이인철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지난해말 기준 시중에 풀린 단기 부동자금은 약 931조3천억원.
1년만에 137조원, 17% 넘게 급증했습니다.
단기 부동자금의 절반 가량은 현금과 수시입출식 예금에 쏠려 있습니다.
이외에도 머니마켓펀드(MMF)와 종합자산관리계좌(CMA) 등에 머물고 있습니다.
이런 현상은 연 1%대 저금리가 장기화되고 주식과 부동산시장이 흔들리면서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유동성이 현금화가 쉬운 대기성 자금으로만 맴돌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전문가들은 미국 금리, 국제유가와 중국 경기 이외에도 일본과 유럽 금융시장 안정도 지켜봐야 할 변수로 꼽고 있습니다.
이런 변수가 해소되면 단기 부동자금은 어떤 자산으로 움직일까?
[인터뷰] 곽상준 신한금융투자 수석 PB팀장
"올해 3대 자산중에서 채권, 부동산, 주식 중에서 변동성이 있어서 다들 쉽지 않다고 생각하시지만 오히려 주식 자산이 가장 유리하지 않을까 이렇게 생각한다"
최근 일본, 유럽 등 선진주식시장이 흔들리면서 글로벌증시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지만 채권이나 부동산 등 다른 자산에 비해 주식 투자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또한 ISA(종합자산관리계좌)와 해외 주식펀드 비과세 도입도 주식 투자 매력을 키우는 요인입니다.
만에 하나 이런 글로벌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는다면 시중에 풀린 유동성은 단기 부동자금으로만 쏠리는 이른바 돈맥경화 현상은 지속될 것이란 주장도 만만치 않습니다.
한국경제TV 이인철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