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보급이 예상보다 더디게 진행되면서 정부가 무리수를 둔건데, 충전소 등 인프라 확대가 선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지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현재 국내 전기차 등록대수는 8070여대. 미국 중국의 2-3% 수준입니디.
최근 조경규 환경부 장관이 완성차 업체가 전체 판매량의 1-2%를 친환경차로 채워야 하는 ‘의무판매제’도입을 시사한 건 이런 저조한 보급 상황 때문.
의무판매제는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미국 일부 주에서만 시행중이고 중국은 2018년 도입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들 국가에서 시행이 가능한 건 전기차와 동시에 충전소 보급이 활발해서입니다.
미국과 중국의 충전소는 각각 3만 6500기, 4만 9000여기입니다. 반면 국내는 1248곳으로 30배 가량 차이가 납니다.
전문가들은 충전소 설치 등 전기차 보급 환경을 조성하는게 우선이라고 지적합니다.
<인터뷰> 김필수 대림대 교수
"소비자가 전기차를 살 수 있는 구매 욕구를 올려줘야 한다. 불안감을 없애기 위해 충전시설 확대해줘야한다. 큰 문제가 충전시설이 없는 상태에서는 운행하기 불안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정부는 여전히 전기차 수 늘리는 데만 집착해 인프라 질은 오히려 떨어지고 있습니다.
정부가 지난 6월 발표한 전기차 확대 목표에 따르면 2020년 까지 전기차는 25만대, 급속충전기는 3000기를 보급한다는 계획.
현재 전기차 대 충전기 비율은 17대1 수준인데, 정부 계획대로라면 오는 2020년 이 비율이 83대 1로 5배 가량어 더 악화됩니디.
이에 대해 정부 해명은 궁색합니다.
<인터뷰> 환경부 관계자
"어차피 충전소도 주유소 처럼 어느 한계치가 있다. 이용률이 하루에 한 두번 뿐이 안된다. 3000기 정도면 직영주유소 수준은 되는 거다."
결국 친환경차 의무판매제 도입은 유야무야 됐지만, 국내 전기차 정책의 민낯은 고스란히 드러났습니다.
한국경제TV 이지수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