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농림축산식품부의 `2016년도 식품산업 주요 지표`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음식점 및 주점업 사업체 수는 전년 대비 2.4% 늘어난 65만여개로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 5,133만 명을 기준으로 환산하면 식당이 무려 국민 78명당 1개꼴로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DB>
더구나 큰 문제는 전체 음식점의 87.4%가 직원 수 5명 미만인 소규모 음식점이라는 것.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듯 퇴직자를 중심으로 영세 자영업자들이 너도나도 외식업에 뛰어들면서 외식업계가 포화 상태에 이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여기에는 질적인 성장 대신 가맹점 수 늘리기에만 급급했던 국내 외식 프랜차이즈들도 한몫한 것으로 분석된다.
프랜차이즈의 경우 퇴직자처럼 처음 외식업종에 진출하는 사람들이 안정적인 수익성을 보장받기 위해 찾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우리나라의 경우 본사에서 직접 운영하는 직영점이 없는 프랜차이즈가 무려 60%(한국외식산업정책학회 집계 기준)에 달한다는 것.
다시 말하면 가맹본사에서 직접 운영해 성공한 경험도 없는 식당 브랜드를 만들어 판매하는 기형적인 구조라는 의미다.
가맹본사들이 로열티보다는 초기 개설 비용을 가맹점으로부터 받아 수익을 극대화하고 있어 초기 비용을 보전하지도 못한 채 폐업하는 가맹점도 속출하는 형편으로 외식업종의 폐업률은 23%(2014년 기준)로 전체 자영업 폐업 가운데 가장 비중이 높았다.
게다가 올해 같은 경우 청탁금지법 시행과 최근의 `최순실 게이트`까지 터지면서 식당 경기가 그야말로 꽁꽁 얼어붙은 상태다.
실제로 농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지난 10월 발표한 `2016년 3/4분기 외식산업 경기전망지수`에서도 외식 소비가 감소하면서 4분기 전망은 지난해 수준에 한참 못 미치는 71.04p로 전망됐다.
전문가들은 내년에도 외식업종의 `경기 한파`는 계속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