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의 구원투수가 될 것인가, 새누리당 분당(分黨)의 진원지가 될 것인가.
새누리당 비주류가 `유승민 비대위원장` 카드에 합의하고 당내 친박계에 최후통첩을 하면서, 유 의원의 거취가 당의 향후 진로에 직결되는 뇌관으로 부상했다.
`무사만루`에 몰린 새누리당의 선택지가 `유승민이거나, 유승민이 아니거나`로 압축됐고, 이는 곳 갈등속 봉합이냐, 파국속 분당이냐로 귀결되기 때문이다.
그의 등판 여부는 경기의 승패(당의 개혁)뿐 아니라 자신의 몸값(대권 가도)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유 의원은 당 개혁을 위해 전권을 가진 비상대책위원장이라면 `독배`일지라도 들겠다고 공언한 상태다. 그게 아니라면 비대위원장을 맡지 않겠다는 뜻이다.
공을 넘긴 유 의원은 19일 "(정우택 원내대표의) 공식적인 답변을 기다려보겠다"고 말했다. 상황 전개에 따라 그의 대응도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전권 비대위원장이 관철되면 명실상부한 개혁이 뒤따를 전망이다. 핵심 친박(친박근혜)계 의원들에 대한 인적 청산도 예고된 수순이다.
유 의원 개인의 정치행보 역시 절정기를 맞을 가능성이 크다. 지난해 원내대표 축출 이후 총선 공천 탈락과 탈당, 무소속 당선과 복당으로 한 편의 드라마를 써 온 그로서는 값진 정치적 모멘텀을 거머쥘 수 있다.
평의원이던 그가 당의 간판으로 위상이 높아지면서 기존의 개혁 성향에 더해 전통적 보수층의 결집과 이를 토대로 한 대권도전이 한층 추동력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유 의원이 비대위원장을 맡는 데 대한 친박계의 거부감이 매우 강한 게 걸림돌이다. 친박계 입장에선 `내 목을 스스로 치는 격`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한 친박계 핵심 의원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다른 사람은 몰라도 유 의원은 안 된다. 그냥 비대위원장도 아닌 `전권 비대위원장`은 더 그렇다"고 말했다.
비대위원장 추천권을 가진 정우택 신임 원내대표도 기자간담회에서 "당의 갈등과 분열을 더 일으킬 소지가 다분히 있는 사람은 안 되지 않겠느냐"고 했다.
친박계의 저항을 제압하지 못해 당 개혁이 지지부진해지거나 권한을 제대로 행사하지 못하는 경우 비대위원장직이 오히려 그의 발목을 잡는 결과가 될 수 있다.
비대위원 및 당직자 인선, 박 대통령 징계를 다룰 윤리위원회 재구성, 대선후보 경선룰 확정 등에서 여전히 당내 과반을 차지한 친박계와 충돌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유 의원에게는 `전부`가 아닐 바에야 `전무`가 낫다는 얘기가 나온다. 전권을 쥔 비대위원장이 안 된다면 엉거주춤 당에 남느니 탈당해야 한다는 것이다.
민심이 떠난 새누리당에 남아 당권을 쥐어봐야 "우물에서 숭늉 구하는 격"이라고 새누리당을 탈당한 이재오 전 의원은 이날 PBC 라디오에서 주장했다.
최근 탈당한 김용태 의원은 전날 모임에서 "아수라장이 된 새누리당에서 나와 이제 우리와 함께 `보수 신당`을 만들어 보자"고 유 의원에게 제안했다.
유 의원의 선택에는 그가 보수 성향이 짙은 대구·경북(TK) 출신이라는 점과 더불어 비박(비박근혜)계 목소리를 대변하는 김무성 의원의 행보도 변수다.
김 의원은 이날 오전·오후에 비박계 의원들과 연쇄 회동했으며, 이들은 유 의원이 `전권 비대위원장`에 추대되지 않으면 `분당` 수준의 집단 탈당에 의견을 모았다.
유 의원은 집단 탈당 의견이 나오는 데 대해 "많은 의원님과 그런 가능성에 대해 깊이 고민 중"이라고 밝혔다.
유 의원은 다만 당 개혁에 대한 의지와 자신의 `손때`가 묻은 당에 대한 애착 때문에 탈당 결심을 하는 데 고민이 적지 않다고 주변 의원들은 전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