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1위이자 세계 7위 해운사였던 한진해운이 오늘 법원 파산선고를 끝으로 40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습니다.
‘원칙’을 강조하며 한진해운 파산의 직·간접적인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정부는 피해 최소화, 경쟁력 강화에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이지만 해운·물류 글로벌 경쟁력 약화, 이에 따른 후폭풍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17일 서울중앙지법 6파산부는 한진해운에 대해 “계속 기업가치 산정이 불가능하고 청산가치가 더 높게 판단돼 회생절차 폐지를 결정하게 됐다”며 파산을 선고했습니다.
*법원, 한진해운 파산 선고‥40년만에 역사 속으로
해운업 불황, 유동성 위기 등을 버텨내지 못하고 지난해 9월 법정관리에 돌입한 한진해운이 결국 파산 선고를 받게 되면서 창립 40년 만에 역사의 뒤안길로 자취를 감추게 된 셈입니다.
기재부·금융위·해수부는 이날 법원의 한진해운 파산 선고와 관련해 전일인 16일 늦은 시각 합동 자료를 내고 “해운업 경쟁력 회복을 위한 대책 이행 등 파장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진해운 파산으로 야기될 글로벌 경쟁력 약화, 고용 우려, 협력업체 도산 등 해운과 물류분야의 혼란 등을 최소화하겠다는 것으로 후속 대응과 일련의 정책·금융지원에 나서겠다는 것입니다.
정부 합동TF에 따르면 한진해운의 최대 영업망인 ‘미주·아시아 노선’ 영업망은 SM상선이 인수해 다음달 중 영업을 개시할 예정이고 한진해운 터미널은 현대상선과 SM상선 등 국내선사가 인수를 완료하거나 관련 절차를 진행 중입니다.
정부 합동TF에 따르면 한진해운 선박 141척에 대한 하역 작업은 지난해 11월 28일 완료됐고 39만6천TEU에 달하는 화물의 98% 상당을 이미 화주에게 인도하는 등 마무리된 상황입니다.
*정부·금융당국 “한진해운 파산 업계 파장 최소화 만전”
한진해운 파산과 관련해 정부 합동TF 관계자는 “제1 국적선사가 되는 현대상선과 한진해운의 주요 자산을 인수해 영업에 나서는 SM상선 등을 중심으로 해운 경쟁력 회복을 위한 지원안을 가동해 업계 파장을 최소화 해 나갈 방침”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해운·항만·물류 업계에서는 떨어져 나간 기존 한진해운의 네트워크와 신뢰, 치열해 진 글로벌 해운업계 상황은 녹록치 않다며 향후 파장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유럽 대형선사 주도의 출혈 경쟁이 가속화됨에 따라 국내외 화주들의 운송 차질, 반토막 난 선복량, 운임료 인상 등 또 다른 해운업 리스크에 노출돼 있다는 것입니다.
해운업계 한 고위 관계자는 “정부·채권단의 잘잘못을 따지는 것은 시간이 지난 뒤 판단해야 될 문제지만 한진해운과 같은 글로벌 선사를 만들려면 적어도 40년에서 50년 이상이 걸리는 데 우리나라 해운·물류의 글로벌 영향력이 떨어지는 것, 큰 타격인 것은 분명하다”고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한진해운이라는 해운의 주된 축이 붕괴되면서 국내 물동량 상당수는 몸집을 키운 유럽 선사, 아시아에서는 중국과 일본 선사가 상당 포션을 취하며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할 것이라는 견해도 제기됐습니다.
*해운·물류·항만업계 “한진해운 파장 향후 후폭풍 불가피”
물류업계 고위 관계자는 “현대상선이 있지만 한진해운을 감안하면 약소 해운국 대접을 받게 될 처지에 놓였다”며 “세계 7위 해운사가 소멸된 데 따른 국내 수출기업, 물류기업들의 운임료 인상 부담 등 후폭풍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습니다.
한진해운의 법정관리 이후 파산까지의 과정 동안 실제로 파장은 수치에도 반영되며 한진해운 선박들이 출입했던 부산항은 지난해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 이후 7년 만에 처음으로 물동량이 감소했습니다.
또한 지난해 우리나라 해상운송 국제수지 역시 한진해운의 여파로 적자를 기록하는 등 파장이 만만치 않은 상황입니다.
정부가 현대상선의 자구노력과 자금 지원, 인프라 확충 등을 통해 한진해운 공백 메우기에 나서고 있지만 인수합병을 통한 대형화, 운임, 얼라이
언스 재편, 업황 불황 등 대외 변수에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는 것이 불투명하다는 지적입니다.
*“현대상선·SM상선으로 한진해운 공백 메우는 것 불가능“
정부가 국내 해운업 경쟁력 회복을 위해 대형선박 건조 지원, 금융지원 등을 강화하하고 있지만 한진해운 파산에 따른 해운·물류·항만 등 협력업체의 도산, 대규모 실직 사태는 해결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해운·물류업계에 따르면 현재 협력업체의 유동성 위기, 실직 사태 등은 정확한 통계조차 내지 못하는 등 사태 파악조차 제대로 되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1977년 해운업에 첫발을 내딛은 이후 국내 1위, 세계 7위자리를 지키며 글로벌 대양을 누비던 한진해운이 파산 선고를 받고 침몰한 가운데 한진해운의 파산은 한 해운선사의 파산으로 끝나지 않고 산업 전반, 고용, 제반 인프라, 협력기업 등에 대한 후폭풍으로 이어지면 한동안 우리 경제의 부담요인이 될 전망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