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금리가 본격적으로 오르면서 대출전략에 대한 소비자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는데요.
특히 과거 '혼합형 고정금리'로 대출을 받은 소비자들은 금리 상승기와 맞물려 변동금리로의 전환이 예고되고 있어 신중한 전략이 요구됩니다.
조연 기자입니다.
<기자>
올 하반기부터 혼합형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의 변동금리 전환이 본격화됩니다.
지난해 1조4천억원에 불과했던 변동금리 전환 대출 규모는 올해 11조8천억원으로 8배 넘게 늘어나고, 2018년 19조7천억원, 2019년 26조8천억원 등 매년 급증합니다.
혼합형 대출은 상환 만기까지 고정금리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초기 3~5년간 한시적으로 고정금리가 적용된 뒤 이후 변동금리로 전환하는 구조입니다.
2014년 정부가 '가계부채 질적구조 개선'을 추진하면서 고정금리·분할상환 대출 확대를 지도했는데, 20-30년간 고정금리를 유지하는 리스크를 원치않았던 은행들이 혼합형 대출 판매를 늘린 것입니다.
3년이 지난 올해부터 고정금리 여신의 상당규모가 변동금리로 전환이 불가피한데, 문제는 시기입니다.
지난 수년간 이어진 저금리에는 고정금리로 혜택을 누리지 못했던 소비자들이 정작 고정금리가 유리한 금리 상승기에 변동금리 전환으로 내몰리게 된 셈입니다.
전문가들은 남은 상환기간이 길어 고정금리를 원한다면 새 상품으로 갈아타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변동금리가 낮은 만큼, 먼저 금리를 감면해주는 제도들을 통해 이자 부담을 낮추고, 자금·상환기간 등에 맞춰 신중히 전략을 짜는 것이 우선이라고 조언합니다
<인터뷰> 시중은행 관계자
"고정금리가 무조건 유리한 것은 아니다. 그래도 금리 상승기이니 일단 5년 더 고정하겠다고 하면, 상품을 바꿔타면 된다. 3년 지나면 중도상환 수수료는 안 나온다."
승진이나 급여 인상 등을 통해 금리인하 요구권을 적극 활용하고, 카드 이용, 자동이체 등 거래 실적을 집중해 이자 감면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3년 이내로 갚을 수 있다면 변동금리가 유효하며, 장기간 금리가 변하지 않는 고정금리 상품을 찾는다면 시중은행보다는 주택금융공사와 같은 공공기관 상품을 알아보는 것이 낫습니다.
한국경제TV 조연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