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만공사는 올해 처음으로 연관산업 전수 실태조사를 벌이고 전문가 워킹그룹을 통해 발전방안을 마련해 21일 오후 부산시, 해양수산부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발표했다.
항만의 운영과 서비스 수준에 직결되는 연관기업은 3천569개로 조사됐다.
배를 부두에 붙들어 매는 줄잡이·컨테이너 고정 등 항만용역업이 132개 업체, 선박급유업이 121곳, 선박 운항과 선원생활에 필요한 선용품 공급업 1천500곳, 화물의 수와 양을 검정하는 검수업 40곳, 컨테이너수리업 43곳, 선박수리업 1천761곳 등이다.
이들 업종의 종사자 수는 2만5천여 명에 이른다.
등록만 하고 실제로 영업하지 않는 선용품업체 1천여 개를 제외한 나머지 업체의 평균 종사자는 10명에 불과할 정도로 영세하다.
이처럼 영세한 업체들이 난립하다 보니 선사나 터미널 운영사 등에서 일감을 확보하기 위한 과당경쟁이 벌어진다.
선사 등이 최저가 입찰을 통해 가격 인하를 압박하는 바람에 하역료와 각종 서비스 요율이 낮아져 업체들은 수익성 악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실태조사에서 업체들은 거래처 및 판로부족, 시장환경 악화, 동종업체 간 과당경쟁 등을 가장 큰 경영 애로 사항으로 꼽았다.
항만공사가 전문가들을 참여시켜 운영한 워킹그룹의 조사에서도 항만연관산업의 열악한 실태가 확인됐다.
급유·급수·예선 등 업종은 선원들의 평균 연령이 63~65세에 달했다.
다른 업종에서도 종사자 대부분이 55~65세로 고령화가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비바람을 고스란히 맞으며 휴일도 제대로 쉬지 못하는 고된 작업임에도 임금이 열악하다 보니 젊은 신규인력 유입이 끊긴 때문이다.
급유·급수선 업종은 이런 상태가 이어지면 2030년에는 1천100명 이상의 선원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했다.
일부 업종의 임금은 최저임금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정이 이렇다 보니 부산항이 창출하는 부가가치 규모는 약 6조 원으로 싱가포르항의 35%, 네덜란드 로테르담항의 40%, 중국 상하이항의 34%밖에 안 된다.
뿌리 산업의 부가가치는 외국 항만에 비해 더욱 초라한 수준이다. 1조3천억 원으로 싱가포르의 23%, 로테르담의 15%, 상하이의 25%에 불과하다.
뿌리 산업이 부산항 전체 부가가치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2.1%로 로테르담(60.6%), 싱가포르(33.7%), 상하이(31.7%)보다 훨씬 낮다.
부산항이 컨테이너 하역과 운송에 치중하느라 연관산업 육성에 소홀한 결과다.
이날 발표회에서 우예종 부산항만공사 사장은 "뿌리 산업의 발전 없이 부산항의 발전도 없다"며 "앞으로 연관산업이 동반 성장하는 계기를 만들고자 처음으로 전수 실태조사를 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한 만큼 정부와 지자체, 업계 모두 관심을 두고 제도 개선과 자구책 마련에 힘써달라"고 주문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