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연 : 김두언 하나금융투자 연구위원
Q.> 오늘 새벽(현지시간 21일)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1월 의사록이 공개되었습니다. 주목해야 할 내용들을 짚어주실까요?
김두언:
결론적으로 3월 금리인상 가능성 높아져
물가 점진적 2%도달. 약달러 물가 상승에 도움
경기는 생각보다 견조. 2020년까지 높아질 전망
눈에 띄는 부문 2가지.
첫째, 필립스 커브 여전히 유용 ->2010년들면서 무용론 확산
둘째, 낮은 생산성 언급 ->광범위한 임금 상승 신호 어려워
Q.> 이제 시장은 의사록 공개 이후 증시 방향성에 주목하고 있는데요, 증시 전망 부탁드려요!
김두언:
결론: 한 달여 동안은 방향성 부재/변동성 확대 불가피
이방카 방문/이탈리아 총선/ECB 통화정책회의 등 대기
실적기대 유효
분수령은 3월 FOMC(3월 22일)
외국인 수급/환시 방향 주요
Q.>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통상 압박 공세를 펼치면서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 한국 경제와 증시에 미칠 영향은 어떻게 보시나요?
김두언:
트럼프 보호무역주의 중간선거(11월)까지 지속 예상 ->단기적 이슈 아닌 지속적인 이슈로
일각에서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한국 증시와 중국 증시가 미국 증시보다도 높은 상관성을 보인다는 연구결과도 있음
환시가 가장 중요
인플레 압력 + 금리인상 기대와 함께 통상압박으로 인한 환율전쟁 가능성 등 혼재되면서 외환시장 변동성 확대 불가피
Q.> 최근 환율 변동 추이와 전망은 어떠한가요?
김두언:
결론: 약달러/원화 강세 추세 유효
단기 달러 반등(유로화 고평가 논란) ->전일 달러가치 90p 회귀
다만, 재정적자 우려/글로벌 통화정책 수렴(유럽과 일본 인플레 갭 플러스 전환 예상) 등이 약달러 압력으로 이어져
국내 달러-원 환율의 경우
1)외국인 수급 부담 + 2)한은 금리 동결(국내 경기둔화)_OECD 경기선행지수 기준선 이탈) 등과 함께 3)한/미 FTA 재협상 과정이 외환 참가자들에게 가장 중요(정부 개입 지연)
한국경제TV 제작1부 박두나 PD
rockmind@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