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경우 일반실 평균 이용요금은 전년 대비 17만원(5.6%) 늘어난 314만원, 특실은 54만원(13.2%) 증가한 462만 원이었다.
서울 지역 산후조리원의 일반실 중 가장 비싼 요금은 960만원, 특실은 2천만원으로 조사됐다.
지역별 평균가격 차이가 가장 큰 곳은 서울과 전남으로, 일반실 이용가격이 168만원까지 차이가 났다.
외부감사 대상으로서 재무자료가 공시되는 민간 산후조리원의 영업이익률은 평균 24.9%, 최대 40.6%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종 서비스업 평균 영업이익률(16.9%)을 훨씬 웃돈다.
산후조리원은 인건비, 임차료 같은 고정비 비용이 대부분이어서 규모가 크고 이용하는 산모 수가 많을수록 수익성이 커진다고 물가감시센터가 설명했다.
전국적으로 민간 산후조리원의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서울과 경기 지역에 편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에서도 산후조리원은 강남구와 강동구에 몰려 있고 용산구, 관악구, 광진구, 마포구, 성북구, 양천구 등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감시센터는 "민간 산후조리원이 이미 높은 가격임에도 새로운 부가 서비스 등을 개발해 지속해서 가격을 인상하고 있다"며 "정부가 특별한 가이드라인 없이 시장논리에만 맡기고 있어 출산을 계획하는 산모들에게 큰 경제적 부담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사진=연합뉴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