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버스파업 철회와 관련해 "버스 공공성 강화와 재정효율을 고려한 버스정책을 꾸려가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김 장관은 오늘(15일) `버스 파업 철회 관련 국민께 드리는 말씀` 담화문에서 "버스 노선의 축소와 버스 감차 없이 주 52시간 제도를 도입하기 위해선 추가 고용과 재원이 마련돼야 한다"고 전했습니다.
특히 "매년 버스 교통사고로 100명 이상이 사망하고 있다"며 "주 52시간제도 정착은 국민의 생명안전과 직결된 중요한 사안"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 버스요금 인상 지적에 대해선 "버스요금이 낮은 수준(英·美의 1/4~1/3)이고, 수도권은 최근 4년간 요금이 동결된 점을 감안할 때 버스 요금의 인상을 피하긴 어렵다"며 "어렵게 마련된 재원인만큼 `안전한 대한민국`의 마중물이 되도록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김 장관은 버스 공공성 강화대책도 마련하겠다는 뜻을 전했습니다.
김 장관은 "지난해 말 정부는 노·사·정 합의를 통해 `버스 공공성 강화 대책`을 마련했다"며 "앞으로 고용기금을 통한 `일자리 함께하기 사업`을 확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광역버스 준공영제와 관련해서도 "준공영제 도입시 버스 근로자의 근로환경이 개선돼 서비스 질과 안전이 높아질 수 있다"고 강조하며 "공공성과 재정 효율성을 모두 고려한 제도를 설계하겠다"고 전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