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혈관질환, 결국 '수입'에 달렸다?…"소득 증가하면 생존율↑"

입력 2019-07-08 18:40  


가계 소득이 증가하면 심혈관질환 사망 위험이 낮아지고, 생존율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는 국내 연구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성지동 교수팀(송윤미 가정의학과 교수·홍경표 순환기내과 교수)은 2002∼2013년 국민건강보험공단 국가표본 코호트를 토대로 17만8천812명의 수입과 건강검진 이력, 사인 등을 비교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연구팀은 대상자들을 2002년 당시 소득을 기준으로 상위 30%, 중위 40%, 하위 30%씩 3개 그룹으로 구분했다. 연구대상자는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하고, 허혈성 심장질환이나 뇌졸중, 심부전 및 암 병력이 없는 사람으로 선별했다.
10년간 이들의 생존율을 추적 관찰한 결과 전체 대상자의 4.1%가 사망했고, 이 가운데 0.9%가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해 사망했다.
소득별로 보면 상위소득층 사망자 3.6% 가운데 0.7%가 심혈관질환으로 사망해, 중·하위소득층에 비교해 사망률과 심혈관질환 사망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하위소득층 사망률의 경우 전체 사망률은 5.5%, 심혈관질환 사망률은 1.2%였다.
또 연구팀은 각 소득층의 수입 변동에 따른 사망률을 분석했다.
그 결과 상위소득층은 수입 변동에도 사망률이 큰 차이가 없었다. 수입에 오르내림이 있었던 사람의 사망률은 1%로 중위 소득층과 하위소득층 2%보다 높았다. 수입이 감소한 사람들의 사망률은 4%였다.
반면 중위소득층부터는 수입 변동에 따라 사망률의 차이가 두드러졌다.
중위소득층에서 수입이 고정되거나 감소 한 경우 사망률이 8∼9%였다. 이는 수입이 증가하거나 오르내림을 경험한 경우의 사망률 2%보다 4배 이상 높은 수치다.
하위소득층에서는 수입 변동이 없던 사람의 사망률이 13%를 기록했다. 수입이 증가한 경우는 4%, 오르내림이 있는 경우는 2%였다.
연구팀은 소득 분위에 따라 사망률이 달라지는 이유는 복합적이라고 설명했다.
하위소득층은 흡연, 운동 부족, 불건강한 식습관 같은 위험요인들의 영향과 함께 고지혈증에 대한 치료 등 적절한 예방 조치를 받지 못하는 등 요인들이 심혈관질환에 의한 사망률을 증가시킨다는 게 연구팀의 추정이다.
성 교수는 "소득 수준에 따라 확연하게 심혈관질환 사망률이 차이가 있다"며 "이는 소득 불평등이 실제 사회 구성원들의 건강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소득 양극화를 완화하는 복지 정책이 복지 자체로서 의미가 있을 뿐 아니라 사회 구성원들의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유럽 예방심장학회지`(European Journal of Preventive Cardiology) 6월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조시형  기자

 jsh1990@wowtv.co.kr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