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학주의 마켓 투자 키워드- 中 정부, 민간 부실 흡수 가능…금융자산 가격 거품 꺼지지 않을 것]

입력 2019-10-18 11:14  

    " 재정정책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증시 변동성

    " 트럼프 정책과 미국 기조의 구분

    " 중국 그림자 금융이 증시에 쇼크를 줄까?

    " 중국 전기차 판매 위축 - 관심주는?

    1.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연 1.25%까지 내렸습니다. 세계적인 추세를 거스를 수는 없을 텐데요. 과연 도움이 될까요?

    통화정책이 처음에는 부채부담을 줄여줘 소비를 진작시키는 효과가 있었지만 풀린 돈이 실물투자로 가지 않고 금융자산으로 몰리며 투자수익률이 낮아지자 이제는 소비자들이 노후를 위해 더 저축해야 함을 깨닫고 소비 대신 저축. 따라서 효과 소멸.

    은행들의 경우 고객들로부터 받은 예금의 만기보다 대출기간이 길므로 금리가 하락하면 예금금리가 대출금리보다 더 빨리 떨어져 수혜 (from positive duration gap). 아직은 이런 과정이 진행되고 있어 투자자들이 안도. 그러나 시간이 흘러 금리차가 사라질 경우 이런 benefit이 없어짐. 대신 금리 하락기에서 나타난 장단기 금리차 축소로 인한 고통이 더 커짐. 그래서 은행들이 금리가 떨어져도 대출을 기피하는 현상 (그렇게 낮은 수준의 금리를 반전금리 = reversal interest rate). 지금은 그 근방.

    - 특히 그 동안 양적완화를 많이 해서 금리가 전반적으로 낮아진 상태이므로 이런 reversal interest rate이 올라왔고, 그 부작용이 비교적 단기에 나타날 수 있음.

    한국은행이 고민스러운 것은 한국의 국채 발행량이 급증할텐데 (=재정지출 의존도 상승) 이 경우 시중금리가 급등할 가능성. 가뜩이나 기업들 채산성이 떨어져 있는 가운데 금리 상승으로 한계기업이 도산할 가능성 우려. 즉 통화정책에서 재정정책으로 넘어가는 과도기 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므로 대비해야 함. 이런 가운데 금리를 내리는 것이 방만한 것이 아닐까 하는 우려

    - 물론 한국의 연기금들이 국채를 더 많이 사야 하지만 국채 공급이 이를 초과할 경우를 우려

    2. 트럼프 행정부는 2,500억불 규모의 중국 수입품에 대해 오는 10월 15일부터 관세율을 25%에서 30%로 올린다는 당초 계획을 보류했습니다. 그렇다면 그 동안 갈등의 피해를 받았던 경기민감주가 회복될까요?

    미-중 갈등의 핵심적 분야 (=미래 첨단기술) 관련 갈등은 지속될 것. 즉 1) IT신기술에 있어 중국의 접근을 허락하지 않을 것, 2) 중국이 (터무니 없이) 시장을 제공하는 대가로 기술 상납 받는 태도를 근절. 3) 중국 정부가 자국 업체에 보조금을 지원하여 신기술을 키우는 것도 용납하지 않을 것). 화웨이 규제도 풀어주지 않을 것 (=삼성전자에는 다행)

    반면 구경제 관련 갈등의 수위는 낮아질 가능성이 높아 보임. 미국입장에서도 (수입물가만 올리고, 글로벌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쓸데없는 갈등이라는 지적. 그 결과 단기적으로는 철강을 비롯한 관세 피해주들이 반등할 수 있음.

    - 그러나 제한적일 것. 왜냐하면 트럼프의 구경제 살리기 기조가 후퇴하며 제조업, 에너지 관련 재정지출이 줄어들면 경기민감주들의 실상이 드러날 것이기 때문. 즉 이들의 실적 악화가 단순히 갈등 때문이 아니라 구조적인 추세임을 깨닫게 될 것. 또한 구경제의 일감이 줄어들수록 먹이다툼이 치열해지고 새로운 갈등이 야기될 것.

    한편 미-중 서로 win-win이 될 수 있는 것이 중국의 미국 shale gas 수입. 최근 미국 shale 유전의 생산성 하락으로 관련 에너지 기업들이 부실화. 이는 미국의 고민. 또한 중국의 가장 큰 고민은 대기오염과 그로 인한 인민들의 건강 문제. 미국 천연가스를 중국으로 가져 올 수 있는 방법은 선박 뿐. 천연가스의 액화, 저장 관련주들에 관심. . (Gaztransport & Technigaz)

    3. 중국의 그림자 금융 (shadow banking)에 따른 부실이 증시에 쇼크를 줄 수 있다는 지적도 있는데요. 그럴 가능성이 있을까요?

    그림자 금융 (non-bank financing). 즉 자금이 제도권 은행에서는 투자수익률이 너무 낮아 (risk taking & leverage를 통해 수익률을 올리고자) 규제를 피해 은행권을 이탈하는 현상 (dis-intermediation).

    - 그런데 이는 중국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 공통적. 글로벌 은행들이 케이만 아일랜드 등 규제가 약한 지역에 비은행권 자회사 (특히 hedge fund)를 이용해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들에 변칙 대출 등) risk taking. 이런 은행과 비은행권의 편법 국제거래 규모가 2016년 4.8조달러에서 올해 벌써 6.6조달러까지 증가.

    물론 중국 기업이나 부동산이 미-중 무역갈등 및 구경제의 위축으로 인해 먼저 취약해지는 것은 사실. 따라서 Noah Holdings 등 중국에서 (shadow banking기반의) wealth management 회사에 투자하는 것은 위험하나 이것이 증시를 붕괴시키지는 않을 것. 왜냐하면

    1) 중국의 경우 민간부실을 정부가 흡수할 수 있음 (미국도 마찬가지나…). 90년대말에도 갑자기 민간부실이 실종. 현재 중국의 국가부채는 (지방정부 및 기관 부채 포함해서) GDP의 43%정도이므로 (vs. 미국 112%) 민간 부실을 흡수할 수 있는 여력

    2) 금융자산 가격 거품이 꺼지지 않을 것. 지금 거품이 생기는 구조적 이유는 민간 저축을 민간 투자가 소화할 수 없기 때문. 즉 잉여자금이 넘침. 투자수익률이 어디까지 낮아질 수 있을지 확인될 때까지 거품이 붕괴되지는 않을 것.

    4. 중국에서 전기차 판매가 9월에도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전년비 34% 감소했는데요. 중국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 삭감이 전기차 산업에 전반적으로 악영향을 줄까요?

    중국 정부는 지난 3월 전기차 및 hybrid car에 대해 소비자와 제조업체에 대해 지급하던 보조금을 단계적으로 축소하겠다고 발표. 보조금 규모가 1회 충전시 주행거리와 비례하므로 기술혁신이 가능한 역량 있는 (해외업체와 싸울 수 있는) 기업위주로 보조금을 집중하겠다는 전략. 그 과정에서 전기차 수요가 일시적으로 위축될 가능성 우려

    - 중국 전기차 보조금이 6월까지 지급됐기 때문에 6월에 선취매 (pull forward demand)가 있었고, 그 여파로 인해 7월부터는 판매가 slow할 것으로 예상했었음. 그런데 9월까지 3개월 연속 전기차 판매가 위축. 의외로 판매 감소가 큰 것 아닌가 우려.

    - 중국 정부가 실망하며 보조금을 줄였던 이유는 배터리 기술이 기대보다 느리게 발전했기 때문. (니켈이나 코발트를 섞는) 리튬이온전지는 한계가 있어 리튬고체전지 (리튬덩어리)로 갈 전망. 다행히 지구표면에 리튬이 많이 발견되어 리튬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리튬가격은 하락. 단, 순도 높게 리튬을 제련하는 것이 과제. 여기서 경쟁력을 갖고 있는 일본 제련업체를 주목 (Shin Etsu Chemical, Sumitomo metal mining)

    - 한편 중국은 'Made in China 2025'의 일환으로 자동차를 new energy vehicle로 paradigm을 바꾸겠다는 계획이므로 궁극적으로 (워렌버펫이 투자했던) BYD 등 중국의 대형 전기차 업체들은 계속 육성할 것 (저점매집)

    한국경제TV  방송제작부  양경식  PD

     ksyang@wowtv.co.kr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