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의 키코 피해 배상 결정에 피해 중소기업들은 다소 아쉽다면서도 환영의 뜻을 나타냈습니다.
그러면서도 은행들이 책임 회피를 멈추고 진정성 있게 추가 협상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이어 전민정 기자입니다.
<기자>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은행이 판매한 외환파생금융상품 '키코'에 가입했다가 막대한 손실을 본 수출 중소기업들이 11년만에 한을 풀었습니다.
'손실액의 최대 41% 배상'이라는 금융감독원의 분쟁 조정안이 발표되자, 피해 기업들은 사실상 수용 의사를 밝혔습니다.
<인터뷰> 조붕구 키코 공동대책위원회 위원장
"결과는 좀 아쉽지만 금융당국의 진정성 있는 노력에 감사한다. 그 덕분에 키코 사태의 해결을 위한 단초를 마련할 수 있게 됐다."
다만 '추가 협상'이라는 과제를 안게 된 피해 기업들은 판매 은행들에게 진정성 있게 협상에 임해달라고 호소했습니다.
또 금융당국엔 보증 채권 소각과 자금 지원 등을 통해 기업인들이 재기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을 요청했으며 동시에 검찰의 재조사도 강력히 촉구했습니다.
<인터뷰> 조붕구 키코 공동대책위원회 위원장
"은행들이 진정성을 갖고 임하지 않으면 앞으로도 지난한 시간이 될 것이다. 금융당국도 개인 보증 채권들을 매입 소각해 피해 기업인들이 재기할 수 있도록 신용을 회복시켜 주길 바란다."
특히 단지 수출의 중추 역할을 했을 뿐인데 은행의 이기주의가 빚어낸 불완전 상품 판매로 회사가 풍비박산이 난 만큼, 배상금은 반드시 당시 피해 기업인들에게 돌아가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인터뷰> 키코 피해기업 관계자
"키코로 인해 피해를 본 많은 업체들이 도산하고 모든 자기 개인적인 재산도 뺏기고 감옥에 간 사람들도 많다. 키코 보상금을 그 당시의 피해 주주들에게 되돌려줘 다시 기업을 인수하고 살릴 수 있도록..."
10년을 끌던 키코 사태가 금융당국의 중재로 첫 해결의 실마리는 찾았지만 법적 효력이 없는 권고안을 은행들이 수용할지는 아직 불투명한 상황.
이번 분쟁조정이 피해 기업들에게 '희망고문'이 될 가능성도 배재할 수 없습니다.
한국경제TV 전민정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