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 유전자 p53 변이, 나노입자 '전령 RNA'로 복원" <美하버드대>

입력 2019-12-30 15:28  


미국 하버드 의대의 브리검 여성병원 과학자들이, 합성한 나노입자 `전령 RNA(mRNA)`로, 돌연변이가 생긴 p53 유전자를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
항암 유전자의 대표 격인 p53은 `유전체의 수호자`로 불린다. 그러나 각종 암에서 가장 흔하게 돌연변이가 발견되는 유전자도 p53이다. 암을 억제해야 할 유전자가 도리어 변이해 암을 일으키는 셈이다.
이번에 복구된 p53은 특히 폐암과 간암 세포의 성장을 늦추고, 특정 항암 치료제에 대한 암세포의 반응도 개선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관련 논문은 최근 저널 `사이언스 중개 의학(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에 실렸다.
이 병원이 지난 24일(현지시간) 온라인에 공개한 논문 개요에 따르면 손상된 p53의 기능을 복원했을 때 성장이 느려지는 건, p53이 결핍됐던 폐암과 간암 세포였다. 에베로리무스(everolimus)라는 mTOR 억제 항암제에 더 좋은 반응을 보인 것도 바로 p53이 결핍됐던 암세포였다.
논문의 공동 교신저자인 스 진 쥔(Jin jun Shi) 마취과 교수는 "mTOR 억제제는 특정 유형의 암 치료에는 승인되기는 했지만, 임상 시험에서 다수의 흔한 암에 잘 듣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p53의 유전 신호가 온전히 전사된 합성 mRNA를 만들기 위해 `산화 환원 반응(redox-responsive)` 나노입자 기술 플랫폼을 이용했다. 그렇게 개발한 게 `지질-중합체 하이브리드(lipid-polymer hybrid)` mRNA이다.
이 합성 mRNA는, p53이 결여됐던 폐암 및 간암 세포에서, 세포 주기 중지와 세포 사멸을 유도했고, mTOR 억제제에 대한 민감성을 높였다. 이런 작용은 시험관 실험과 동물 실험에서 모두 확인됐다.
논문의 저자들은 "이번에 개발된 mRNA 나노입자 접근법을 많은 다른 유형의 암 억제 유전자에도 적용할 수 있다"라면서 "다른 치료법과 연계해 효과적인 복합 항암 치료법으로 쓸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이휘경  기자

 ddehg@wowtv.co.kr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