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에 두 달 늦게 열린 중국 양회에선 대대적인 경기부양계획이 발표되고 있습니다.
지방정부 부채 등으로 유동성을 조여왔던 중국이지만 코로나19가 할퀴고 간 상처가 깊은 만큼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치도 제시하지 않은 채 경제살리기에 '올인'하겠다는 의지가 강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미 기업에 대한 직접 자금 지원과 방역물품 구매 등으로 중국 정부가 시중에 풀어놓은 돈은 2조9천억 위안, 우리 돈으로 500조원이 넘습니다.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선 이에 더해 특수목적채권, 특별국채 등 발행을 통해 최소 5조7천500억 위안, 약 1천조원에 달하는 재원을 확보, 신성장동력에 투자하겠다는 목표를 발표했습니다.
돈 풀기의 효과는 중국 내에서 이미 나타나고 있습니다.
중국 내 온라인 소비가 성마다 전년대비 30% 이상 크게 늘었고, 4월 신차판매는 22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습니다.
전문가들은 이 수혜가 게임·콘텐츠, 고급 화장품, 면세점 등 국내 기업들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합니다.
<인터뷰> 박종대 하나금융투자 연구원
"예전엔 K-뷰티 한류 신드롬이었다면 지금은 중국인들 소비가 눈높이가 높아져서 럭셔리 브랜드가 수혜를 볼 수 있습니다. 또 한국의 면세점은 글로벌 화장품 브랜드 전세계에서 가장 싸게, 많이, 다양하게 들여올 수 있는 유통업체라는 점에서 수혜가 예상됩니다."
국내 증시에서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는 신형인프라 관련주에 대해선 의견이 엇갈립니다.
중국은 '중국제조2025' 넘어선 '중국표준 2035'를 내걸고 5G, AI, 빅데이터, NEV충전소 등 7대 항목에 대해 2025년까지 10조 위안, 우리돈 1700조원을 직접 투입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습니다.
<인터뷰> 조병현 유안타증권 연구원
"화웨이에 대한 제재가 강해지고 있는데, 글로벌 통신장비 시장에서 불확실성이 존재하다보니 변동성 확대될 수 있는 상황에 놓여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국내 관련주들의 수혜는 분명히 예상되지만 당장에는 미국과의 무역분쟁이 변수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보다 장기적 시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조언입니다.
한국경제TV 유주안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