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한국판 뉴딜펀드 추진하면서 금융권의 팔 비틀기가 아니냐는 지적에 손사래를 치고 있습니다. 오히려 새로운 투자처 발굴의 의미가 있다는 입장인데요.
정작 금융투자업계에서는 공모펀드 활성화를 위해서는 뉴딜펀드가 아니라 공모펀드 제도개선이나 인센티브 제공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정희형 기자가 전합니다.
<기자>
지난 3일 한국판 뉴딜펀드 조성계획이 발표된 이후 민간 금융업계 압박하는 것 아니냐는 논란이 불거져 나오자 금융당국은 곧장 반박에 나섰습니다.
금융위원회는 금융권을 향한 압박이 아니라면서 오히려 뉴딜펀드로 인해 다양한 투자처가 발굴되면서 민간 펀드시장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금융투자업계에서는 뉴딜펀드가 위축된 공모펀드 시장을 활성화시키기에는 역부족이라고 입을 모읍니다.
<인터뷰> 금융투자업계 관계자
"(뉴딜펀드가)공모로 나오게 되면 후순위로 들어와서 거기에 따른 시장 활성화는 될 수 있겠지만 단기적인 것이죠. 전체를 봤을 때 근본적인 공모펀드가 왜 안 되느냐에 대한 근본적인 것은 아닌 것이죠. 그걸 기점으로 공모펀드가 확 늘어난다는 것은 아닌 거죠."
올해만 놓고 보더라도 국내 공모 주식형펀드에서 유출된 금액은 약 14조원에 달할 만큼 공모펀드의 위축은 심각한 상황입니다.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직접투자가 늘어난 면도 있지만 공모펀드의 부진 원인으로 낮은 수익률 대비 높은 판매수수료 등이 손꼽히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공모펀드 활성화를 위해 공모펀드 판매채널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자산운용업계에서도 공모펀드 시장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인터뷰> 자산운용업계 관계자
"최근에 정부당국에서 판매채널을 다변화 하려는 제도적인 시도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판매채널을 다변화 하게되면 판매수수료가 떨어지는 효과도 있을 것이고 그로 인해서 공모펀드의 저변이 확대되는 기대가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아울러 공모펀드 장기투자에 대한 세제혜택과 같은 직접적인 유인책 역시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인터뷰> 김형우 한화자산운용 마케팅본부 파트장
"장기적인 자산증식 목돈마련 이런 차원에서 펀드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정부에서도 그런 부분에 있어서 펀드라는 도구에 대해서는 세제혜택을 부과하는 것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기간을 장기적으로 하는 분한테 베네핏을 드리자는..."
이런 가운데 정부 추진 뉴딜펀드에만 부여되는 손실보전이나 세제혜택으로 인해 투자자들의 관심이 뉴딜펀드로 쏠리며 오히려 일반 공모펀드가 더욱 위축될 것이란 우려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침체된 공모펀드시장을 살리기 위해서는 단기적인 대응보다 중장기적으로 간접투자를 육성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한국경제TV 정희형입니다.
한국경제TV 정희형 기자
hhjeong@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