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 재개를 둘러싼 찬반 논쟁 속 지난 3년간 공매도 투자의 수익률이 신용융자 투자보다 월등히 높았다는 점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가 발표돼 주목된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양대 임은아 박사와 전상경 경영대 교수는 지난달 한국재무관리학회가 발간한 `재무관리연구` 제37권 제4호에 `공매도와 신용거래의 투자성과`란 제목의 논문을 실었다.
연구진이 2016년 6월 30일부터 2019년 6월 28일까지 36개월 동안의 일별 공매도·신용거래(융자)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신용거래량은 전체시장 거래량의 8.69%로 공매도 거래량(1.46%)보다 약 6배 많았다.
신용거래 금액(547조9천270억4천만원·전체의 7.93%)이 공매도 거래 금액(309조8천132억8천만원·4.48%)의 2배 수준이었다.
반면 공매도와 신용거래의 투자 수익금을 평균가와 보유기간을 토대로 추산하면 공매도 수익금이 약 9천175억5천만원, 신용거래 수익금이 약 233억6천만원이었다.
공매도 거래는 규모가 신용거래 금액의 절반 수준이지만 일평균 수익은 약 12억5천7만원으로 신용거래 일평균 수익(3천182만원)보다 약 39배 많았다.
주가지수 흐름에 따라 대상 기간을 횡보기(2016년 6∼12월)·상승기(2017년 1월∼2018년 1월)·하락기(2018년 2월∼2019년 6월)로 나눠보면, 공매도 투자자는 전 기간에 걸쳐 차익을 실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신용거래 투자자는 상승기와 하락기에 수익을 내고 횡보기에는 손실을 봤다.
연구진은 "투자 성과는 투자자 유형별 특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며 "공매도 거래의 경우 기관 투자자 및 외국인 투자자 비중이 높은데 비용 우위, 종목 선택의 폭, 그리고 정보력 등 여러 측면에서 개인 투자자들에 비해 유리함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공매도 거래 비중이 높은 종목일수록 공매도 투자 수익성이 높았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공매도가 몰린 종목일수록 실제로 주가가 내렸다는 의미다. 반면 신용거래 비중과 신용거래 수익금은 반대로 움직였다.
연구진은 "공매도 거래의 경우 투자자들의 정보력이 반영된 반면 신용거래는 그렇지 않음을 시사한다"며 "다만 주가 하락기에는 신용거래자의 정보력도 일부 발현되고 있다"고 풀이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이휘경 기자
ddehg@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