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지난해 청년들의 일자리가 31만 명 감소했고, 구직을 단념한 `취업포기자`도 30만 명으로 늘었습니다.
문제는 청년일자리 감소가 비단 지난해 만의 일이 아니었다는 점입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직접 일자리를 만들려는 노력보다는 기업이 청년들을 많이 채용할 수 있도록 기업활동 여건을 개선해줘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지수희 기자입니다.
<기자>
대학졸업 후 1년째 취업 준비를 하고 있는 노씨는 코로나 상황이 원망스럽습니다.
[노하영(26) / 취업준비생 : 원래 일을 했다가 전공을 바꿔서 다른데 가려고 나왔다가 이게 터지면서 (일자리가) 더 없어가지고 힘들어진거죠. 나이도 마지노선이라고 해야하나.. 올해 안에 끝내고 싶은데 코로나가 안끝나서..]
한 중소기업에서 운전기사 업무를 하던 김씨는 지난해 계약만료 이후 재계약을 못해 실업급여를 타고 있습니다.
이후 새 직장을 알아보고 있지만 상황이 여의치는 않습니다.
[김OO / 운전기사 : 코로나도 그렇고 (경영이) 안 좋아지는 시점에서는 대부분 해고 당하게 되더라고요. 바로 취업이 안돼서 어쩔 수 없이...]
지난해 코로나19 타격으로 2030 청년들의 일자리는 31만 명 감소했습니다.
아예 취업을 포기한 청년 `취포자`도 30만 명을 넘어서면서 경제의 활력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코로나 충격에 심화됐지만 사실 청년 취업자 감소는 지난해 만의 일이 아닙니다.
`일자리 정부`를 표방하며 출범한 문정부는 정권 초기 재정으로 청년 공공일자리를 공급해 20대 일자리가 늘어나는 듯 보였습니다.
하지만 정부가 만든 공공일자리는 `단기 알바`라는 오명을 낳았고, 정규 취업으로 이어지지 못하면서 청년일자리는 매년 줄어드는 결과로 이어졌습니다.
전문가들은 청년취업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기업에 활력을 불어넣어 기업 스스로가 청년을 채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입을 모읍니다.
특히 노동시장 경직성이 청년들의 진입 자체를 막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이인호 / 서울대 경제학과교수 : "한번 사람 뽑으면 절대 해고 못해" 그렇게 접근하면 뽑질 않아요. 그럼 일자리가 안만들어지죠. 제대로된 기업에서 필요한 사람을 뽑을 수 있게끔 기업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줘야합니다. 2025년까지 160조써서 190만 명.. 그렇게 계획한다고 만들어지는게 아니에요.]
중대재해법, 공정경제 3법 등 기업을 압박하는 규제나 시장을 무시한 정부의 개입도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강인수 / 숙명여대 경제학과 교수 : 최저임금도 초기에 너무 크게 올려놔서 (상승률이) 4년 전과 비슷해요. 하지만 부작용은 훨씬커요. 점진적으로 늘렸으면 부작용이 그리 크지 않았을텐데.. 현실을 반영 못한 정책들 속도 조절이 필요하죠. 민간에서 뭔가 할 수 있게끔 여러가지 기업관련 법들이 제정이 되는 속도를 조절 해야합니다.]
전문가들은 IT·디지털 등 미래 유망 산업들이 대규모 일자리 창출이 어려운 만큼 앞으로 청년 고용 문제는 더 심각해질 수 밖에 없다고 입을 모읍니다.
재정부담은 크고 효과는 떨어지는 공공일자리 보다는 현금지원을 하더라도 기업으로 흘러가 기업이 고용의 주도권을 잡을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한국경제TV 지수희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