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시장 제조업 비중 69%...실물경제 비중은 36%"
"대기업 시총 비중, 실제 부가가치 비중 상회"
"제조업,서비스업 차별적 충격시 주식시장,실물경제 괴리"
국내 주식 시장에서 제조업이 비중이 서비스업보다 높은 탓에 실물경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31일 발표한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실물경제 대표성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코스피 지수 수준은 코로나19 위기 전 2019년 4분기보다 45.2% 올랐지만, 같은 기간 국내총생산(GDP)은 0.4% 늘어나는 데 그쳤고, 특히 고용과 서비스업 GDP 성장률은 각각 1.5%, 1.0%로 집계됐다.
김도환 한은 조사국 거시재정팀 과장은 이런 `주가-실물경기 괴리`의 원인에 대해 "국내외 거시금융정책의 완화 기조와 경제주체의 가격 상승 기대가 주요 원인이지만, 실물경제 충격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주식시장의 구조적 요인도 일부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주식시상 시가총액에서 2015∼2020년 평균 68.8%에 이른다.
하지만 실물경제에서는 같은 기간 제조업의 평균 부가가치 비중은 36.3% 정도며 서비스업이 51.4%를 차지하고 있다.
고용 비중을 살펴보면 서비스업(67.3%)과 제조업(18.6%)의 격차는 더 커진다.
김도환 한은 조사국 거시재정팀 과장은 "주식시장에서는 제조업 대기업의 시가총액 비중이 실제 부가가치 비중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실물경제와 고용의 흐름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한은이 증시의 시가총액이 실물 경제상 부가가치를 얼마나 잘 반영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비(非) 대표성` 지표를 추산한 결과도 마찬가지다.
비대표성 지표(0∼100%)는 상장기업들의 시가총액 비중과 부가가치 비중 간 차이(절댓값)의 합으로, 지표 수치가 높을수록 시가총액의 실물경제 대표성이 낮다걸 의미한다.
즉, 해당 산업이나 기업의 시가총액이 실물 경제상 비중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다.
최근 5년간 전산업, 제조업, 서비스업 시가총액의 부가가치 비대표성은 각 30%, 23%, 40%로 추산됐다.
서비스업 시가총액이 실제 부가가치를 반영하지 못하는 정도가 제조업의 약 두 배에 이르는 셈이다.
한은은 "앞으로도 코로나19와 같이 제조업과 서비스업에 차별적 영향을 주는 충격이 발생하면 주식시장과 실물경제에서 서로 다른 양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아울러 "우리나라 주식시장이 내수·서비스업보다는 수출·제조업 위주인 만큼 대외충격에 취약하다"며 "경기선행지표로서도 전체 경제가 아닌 제조업 생산·수출 정보를 주로 제공한다는 점에도 유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