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실직과 소득감소 등의 피해가 정규직보다 비정규직에 더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갑질119와 공공상생연대기금이 27일 공개한 올해 2분기 `코로나19와 직장생활 변화`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가 시작된 작년 1월 이후 실직 경험이 있다고 답한 직장인은 16.1%로 조사됐다.
고용 형태별로 보면 비정규직 가운데 실직을 경험했다는 응답자는 31.0%로 정규직(6.2%)의 5배에 달했다.
무노조 직장인(19.1%)의 실직 경험은 노조원(5.3%)의 3.6배였고, 5인 미만 직장인(28.7%)이 300인 이상 사업장에 다니는 직장인(11.1%)보다 실직 경험이 2.6배 높았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엠브레인 퍼블릭에 의뢰해 이뤄진 이번 조사는 만 19세 이상 직장인 1천 명을 대상으로 이달 10∼17일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실직한 이들 중 실업급여를 받았다는 응답자는 34.2%에 불과했다. 정규직은 51.4%가 실업급여를 받았지만 비정규직은 29.0%만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1월과 비교해 소득이 줄었다는 응답자는 전체의 31.7%였다. 소득 감소를 겪은 비율은 정규직(17.0%)에 비해 비정규직(53.8%)이 3.2배 높았다. 임금 수준별로는 고임금 노동자(18.9%)에 비해 저임금 노동자(50.7%)가 2.7배 많았다.
작년 1월 이후 비자발적 휴직을 경험했다는 응답자는 20.7%였다. 비자발적 휴직 경험 비율도 정규직(12.5%)보다 비정규직(33.0%)이 2.6배, 고임금(12.6%)보다 저임금(29.1%)이 2.3배 높았다.
비정규직·5인 미만 사업장·저임금 노동자들은 사회보험 사각지대에 놓인 것으로 조사됐다.
고용 형태별 비정규직의 사회보험 미가입률을 보면 국민연금(55.8%), 건강보험(53.0%), 고용보험(48.8%)으로 정규직(국민연금 6.2%·건강보험 2.8%·고용보험 6.7%)과 비교해 각각 7∼19배 높았다.
5인 미만 사업장 직장인도 사회보험 미가입자 비율은 300인 이상 대기업에 비해 보험 항목별로 4배가량 높았고, 월 150만원 미만 저임금 노동자 역시 사회보험 미가입률은 대부분 50%를 웃돌았다.
업무 중 다쳤을 때 산재보험 처리 비율도 정규직은 56.0%, 비정규직은 31.0%였다.
현 직장의 고용상태에 대해선 전체 응답자의 절반 가까운 43.0%가 `불안하다`고 답했고, `안정돼 있다`는 답은 57.0%였다. 고용 형태별로 보면 정규직 71.0%는 `안정돼 있다`고 답했지만, 비정규직은 64.0%가 `불안하다`고 답했다.
정부에 대한 평가는 감염 위기 대응을 `잘하고 있다`는 응답이 75.5%로 높았으나, 일자리 위기 대응은 `잘하고 있다`(51.0%)와 `잘못하고 있다`(49.0%)는 응답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