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료품·에너지·관리물가 뺀 물가상승률 1.9%
2%대를 웃돌고 있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앞으로 둔화되겠지만, 경기 회복세가 이어지면서 기조적 물가 오름세는 점차 높아질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30일 공개한 `기조적 물가지표 점검` 보고서에서 "최근 물가 흐름에는 농축산물, 석유류 가격, 관리물가 등 여러 교란 요인이 작용해 이를 제외한 기조적 물가 흐름을 판단해야 한다"며 "기조적 물가 오름세는 작년 봄 코로나 충격으로 큰 폭 둔화됐다가 올해 3월 이후 확대되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한은은 기조적 물가를 판단하는 지표로는 ▲관리제외 근원물가 ▲조정평균물가 ▲가중중위수물가 ▲관리제외 경직적물가 ▲경기민감 근원물가 ▲ UIG(잠재적 인플레이션 압력 지수) 6개를 사용했다.
기조적 물가 지표는 일반 물가 지표에서 변동성이 큰 농축산물·석유류나 정부 관리품목 등 교란 요인을 제외한 지표다.
기조적 물가 상승률은 코로나19 발생 전인 지난해 1월 1.4%에서 4월 0.6%까지 떨어졌다가 올해 3월 1.2%, 7월 1.9%로 점차 상승했다.
특히 올해 3월 이후(3월 1.2%, 4월 1.6%, 5월 1.6%, 6월 1.7%, 7월 1.9%)부터 증가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아울러 한은은 이런 기조적 물가 상승은 최근의 경기 회복세와 미래 물가가 더 오를 것이라는 `인플레이션 기대`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했다.
이동원 한국은행 조사국 물가동향팀 차장은 "최근 기조적 물가 지표의 오름세 확대에 비춰 인플레이션 압력은 일부 품목에 국한되지 않고 전반적으로 확대되고 있다"며 "소비자물가 오름세는 공급측 요인의 영향이 줄어 향후 점차 둔화되겠지만, 기조적 물가 상승세는 경기 회복세가 지속되면서 더 강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