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기준 4단계인 현행 거리두기가 2주 연장됐습니다.
연장과 함께 `위드코로나`, 즉 단계적 일상회복을 위한 의료체계도 정비하겠다고 밝는데요.
관련해 어떻게 해야할지, 방안 모색을 위한 공청회도 오늘 열렸습니다.
현장 연결합니다. 김수진 기자.
<기자>
네, 저는 지금 공청회가 열리고 있는 양재동 엘타워에 나와 있습니다.
<앵커>
오늘 공청회에서 나온 전문가 주장은 어떻습니까?
시기부터 이야기해주시죠.
<기자>
전문가들은 지금 당장 단계적 일상회복에 들어가도 이상하지 않다는 의견입니다.
늦어도 11월 중순에는 들어가야 한다고 설명하는데, 더 늦어지면 5차 유행과 맞물려 내년 봄까지 일상회복 진입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앵커>
일상회복에 들어가면 확진자 수가 증가할 위험은 없습니까?
<기자>
방역이 다소 느슨해지는 만큼, 환자수가 증가하는 건 어쩔 수 없습니다.
그러나 많은 수가 무증상·경증 환자인 점, 코로나로 생기는 피해보다 사회·경제 활동 제한으로 생기는 피해가 더 커질 수 있는 점, 국민 피로감 증가 등으로 전문가들은 사회적 거리두기에 의존하는 현재의 방역은 지속 불가능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김 윤 서울대 의대 교수는 "국내 확진자 수는 적은 편인데, 지금의 사회적 거리두기는 지나치게 강력하며 사회적 피해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단계적 일상회복에 들어가면 거리두기보다 확진검사, 접촉자 관리, 감염병 치료에 힘쓰게 됩니다.
매일 하는 확진자 수 발표도 없어질 가능성이 있고, 백신 접종 완료자는 `백신패스` 등 여러 이득을 보게 됩니다.
<앵커>
이제 코로나에 걸려도 무조건 격리시설에 들어가는 게 아니라죠?
이것도 단계적 일상회복 단계 중 하나인가요?
<기자>
그렇습니다. 단계적 일상회복의 시작과 끝은 의료체계 개편인데요.
개편을 위해서 먼저 종합병원에는 증상이 심각한 환자만 들어가고, 무증상·경증 환자는 생활치료센터가 아닌 재택치료로 전환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실제로 정부는 오늘 무증상·경증 환자의 재택치료를 전국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환자는 점점 매우 위중하거나 증상이 거의 없는 두 양상으로 나뉠 예정인데, 생활치료센터는 단계적으로 없애면서 해당 인력을 점차 위급한 중환자에게 돌리면 의료인력도 효율적으로 쓸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단계적 일상회복 관련 공청회장에서 전해드렸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