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22일(현지시간) 차기 의장 재지명을 받아 사실상 연임의 길을 걷게 됐지만 앞에 놓인 과제는 만만치 않다.
파월 의장은 2018년 첫 취임한 뒤 금리 인상에 나서기도 했지만 대체로 통화 완화 정책에 방점을 둔 비둘기파로 통했다.
또 인플레이션을 연 2 밑으로 유지하면서 약 50년 만에 최저치인 3.5의 실업률을 기록하는 등 인플레 억제와 최대고용 달성이라는 연준의 양대 목표를 충족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작년 초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이 기초적 경제 여건을 일거에 바꿔버렸다.
대규모 실업 사태가 상당 폭 개선됐지만 취업자 수는 여전히 전염병 대유행 이전에 비해 420만 명 적은 상황이고, 지난달 인플레이션은 6.1로 31년 만에 최대폭 상승률을 기록했다.
고물가는 코로나19 이후 대규모 재정 부양과 `제로 금리` 수준의 금융 완화로 천문학적인 돈을 푼 정책적 영향에다 공급망 교란으로 수급 불일치가 발생한 영향이 컸다.
고용의 미회복은 전염병 대유행 여파로 일터로 복귀하지 않았거나 눈높이에 맞는 일자리를 찾지 못한 노동력이 상당함을 의미한다. 그 결과 3분기 임금 상승률은 연율로 약 6에 달했다.
파월 의장은 고용난과 물가 상승을 아직은 일시적 현상으로 보는 경향이 강하다.
코로나19 억제로 불안감이 완화하면 직장으로 돌아오는 노동자가 늘고, 물가 역시 목표치인 2 수준으로 안정화할 것이라는 기대에서다.
이는 올해 들어 고물가 행진에도 불구하고 금리 인상이라는 고강도 수단 대신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라는 상대적으로 온건한 수단을 쓴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문제는 고용과 물가가 예상대로 움직이지 않는 경우다. 저고용과 고물가가 지속한다면 파월의 2기 연준은 둘 중 하나에 우선순위를 두는 선택을 해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통화 긴축 정책을 쓰면 물가를 잡을 수 있지만 고용은 줄어든다. 따라서 연준이 최대 목표인 물가 안정에 방점을 두고 금리 인상에 나선다면 고용 회복에 비중을 둔 조 바이든 대통령과 마찰을 빚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파월 의장은 2기 때 매우 다른 경제 환경에 직면할 것"이라면서 "물가 상승률이 계속 높다면 경기침체와 정치적 역풍을 무릅쓰고라도 비둘기파에서 매파로 축을 옮겨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