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리포트에서 보신대로 금융당국이 기관투자자의 수요예측 구조에 손을 보기로 했는데요.
결국, 공모주에 투자하는 개인투자자들에게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관련해서 증권부 박승원 기자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박 기자, 과열되는 기관투자자의 수요예측이 개인투자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기자>
네. 기관투자자의 수요예측 결과가 바로 공모가로 직결됩니다.
수요예측은 은행, 증권사, 보험사, 자산운용사, 자문사 등 기관투자자들이 희망하는 주식의 매입 수량과 가격을 써내는 과정인데요.
이를 통해 공모가가 결정 됩니다.
즉, 기관투자자들이 많이 몰릴수록 공모가가 높게 결정 되고, 이렇게 높게 형성된 공모가를 개인투자자들은 그대로 받아들일 수 밖에 없는 구조인 겁니다.
<앵커>
그럼 이런 과열된 수요예측이 공모가 거품으로 이어진다는 말인가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공모가가 높다하더라도 상장 이후 주가가 오르면 이런 논란은 없을 텐데, 아쉽게도 그런 경우가 많지는 않습니다.
실례로 최근 상장한 IPO 대어인 LG에너지솔루션의 경우 기관투자자 수요예측에서 1경원이 넘는 천문학적인 주문이 쏟아졌지만, 정작 상장 뒤의 수익률은 기대만큼 크지 않았습니다.
비교 대상을 넓혀보면 지난해 상장한 89개사 가운데 지난해 말 기준 공모가보다 낮은 종가를 기록한 기업은 28개사로, 전체 31.5%를 차지했습니다.
개별 기업 가운데선 지난해 IPO 대어인 크래프톤이 기관 수요예측에서 243.1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희망밴드 상단인 49만8,000원에 공모가가 확정됐지만, 현재 주가는 30만원 이하에 머물고 있습니다.
기대가 컸던 탓에 실망도 큰 건데, 개인투자자들의 기대치를 끌어올린 건 기관투자자 수요예측 때 생긴 공모가 거품이란 지적이 나오는 배경입니다.
<앵커>
앞서 리포트에서 봤듯이 기관투자자들의 뻥튀기 공모청약이 기관의 고유재산 불리기와 함께 공모가 거품으로 이어져 금융당국이 제동에 나섰다는 건데요.
이렇게 제동을 걸면 공모가의 거품이 실제로 빠질 수 있는 건가요?
<기자>
공모가 거품이 단기간에 당장 빠지긴 힘들다는 게 증시전문가들의 공통된 시각입니다.
공모가에 영향을 미치는 건 과열된 수요예측 이면에 있는 바로 시장의 관심도이기 때문인데요.
이미 시장에 여유자금이 넘치는 상황에서 진입장벽을 세운다한들 인기 종목의 수요예측 경쟁률이 급격히 떨어질 가능성은 제한적일 것이란 설명입니다.
예를 들어 공모가가 과거 수요예측 경쟁률 1000대1에서 최상단에 결정됐다면, 진입규제 강화로 500대1이 된다고 해도 공모가 최상단으로 결정될 수 있습니다.
경쟁률이 다소 내려갈 순 있어도 시장의 관심이 쏠리는 종목에 대해선 큰 영향이 없다는 겁니다.
결국, 비인기 종목의 경우엔 수요예측에서 부진을 겪을 가능성은 있지만, 대어급 인기 종목의 공모가엔 사실상 영향이 없다는 게 증시전문가들의 진단입니다.
<앵커>
그럼 공모가 거품을 막으면서 IPO 시장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은 없는 건가요?
<기자>
정책적 지원과 함께 IPO 시장 활성화를 위한 환경 조성 마련이 필요하다는 게 증시전문가들의 공동된 의견입니다.
수요예측의 진입장벽만으론 한계가 있는 만큼, Pre-IPO 등 장외시장 거래를 활성화시키고, 외국인투자자의 보호예수 확대 그리고 공모주펀드의 참여를 보다 확대시켜야 한다는 주문인데요.
구체적으론 공모주 청약에서의 배정 물량 제한으로 공모가 거품이 더 커질 수 있는 만큼, Pre-IPO 시장 등 장외시장을 더욱 활성화해 이를 해소시켜야 한다는 겁니다.
여기에 외국인 역시 기관과 함께 상장일 물량을 털어 주가 하락을 주도하는 만큼, 이들에 대한 보호예수 기간을 늘려 급격한 주가 하락을 막을 필요가 있다는 설명입니다.
<앵커>
공모주펀드의 참여 확대는 어떤 의미인가요?
<기자>
네. 공모주펀드의 배정비율을 높여야 한다는 요구도 많은데요.
현재 IPO시 공모주펀드의 배정비율이 하이일드펀드의 경우 5%, 코스닥벤처펀드의 경우 30%를 부여되고 있는데, 이 비율을 보다 확대해야 한다는 설명입니다.
개인투자자들이 직접투자를 통해 IPO 시장에 참여하는 대신 공모주펀드란 간접투자의 비중을 높일 경우 공모주 쏠림현상과 변동성 확대 현상이 다소 해소될 수 있다는 겁니다.
관련해 전문가의 의견 들어보겠습니다.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금융산업실장 : 공모주 쏠림에 대한 우려, 거품 우려를 다소 해소시키기 위해서 공모주에 직접 투자하기 보다는 공모주펀드에 대한 배정비율을 확대하고, 세제혜택 부여 등을 통해 개인투자자가 간접적으로 공모주시장에 참여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여기에 일각에선 `뻥튀기 청약`을 막기 위해 꼼수를 가려낼 전산 시스템 구축과 허수 청약 적발시 처벌, 여기에 개인투자자와의 형평성을 맞추는 차원에서 기관투자자에게도 증거금을 부여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는데요.
다만, 이같은 방안이 IPO 시장의 급격한 위축으로 이어질 수도 있는 만큼, 금융당국의 정책적 지원과 함게 업계의 자정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앵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증권부 박승원 기자였습니다. 박 기자 수고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