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와 반대로 통화 완화 정책을 구사하면서 위안화 가치가 급락 추세를 보이고 있다.
23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전날 인민은행이 고시한 기준 환율 성격의 중간 환율은 달러당 6.4596위안으로 작년 10월 이후 가장 높았다. 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이 오른 것은 위안화 가치가 상대적으로 떨어졌음을 뜻한다.
중국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은 전날 달러당 6.49위안까지 올랐다. 홍콩 역외시장에서는 위안화 환율이 달러당 6.53위안까지 상승했다.
연초까지 초강세를 유지하던 위안화 가치는 4월 들어 심각해진 코로나19 확산에 중국 당국이 적극 경기 부양 의지를 나타내면서 빠르게 하락하는 추세다.
위안화 가치는 최근 한 달 새 약 2%, 최근 1주일 새 약 1% 급락했다.
미중 통화정책의 탈동조화(디커플링), 상하이 봉쇄 등 코로나19 충격에 따른 중국 경제 피해 급증 등이 위안화 가치 하락의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 연준은 지난달 3년여 만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리며 본격적인 금리 인상 사이클에 돌입했고,세계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그러나 중국은 코로나19 충격에 대응해 지급준비율을 인하하는 등 통화 완화 기조를 더욱 강화하면서 세계 금융질서를 좌지우지하는 연준과 반대의 길을 걸어가고 있다.
인민은행은 오는 25일 지준율을 0.25%포인트 인하해 약 102조원의 장기 유동성을 시중에 공급한다.
시장에서는 내달 발표되는 4월 통계부터 상하이 봉쇄 충격이 본격적으로 반영되기 시작하면서 중국이 사실상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도 낮출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이런 분위기 속에 위안화 가치가 급속하게 하락하자 최근 외국 투자자들은 중국 자산을 매각하는 분위기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외국인 투자자들은 3월 중국 채권 보유액을 1천125억위안(약 21조4천억원) 줄였다. 2월에도 외국인 투자자들은 보유 중국 채권을 803억위안(약 15조3천억원) 어치 줄였다.
일부 전문가들은 향후 위안화 가치가 추가로 하락하는 가운데 투자자들이 중국 주식도 계속 매도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김현경 기자
khkkim@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