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취업자가 1년 전보다 67만7천명 늘었지만 증가 폭은 다섯 달째 둔화했다.
최근 고물가·고금리 기조 속 수출 증가세마저 꺾이면서 경기 둔화압력이 커지자 고용시장의 불확실성도 높아지고 있는 모습이다.
통계청이 9일 발표한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841만8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67만7천명 증가했다.
같은 달 기준으로 보면 1999년(96만6천명) 이후 23년 만에 최대 증가 폭이다. 이에 따라 취업자 증가세는 지난해 3월 이후 20개월째 이어졌다.
취업자 증가 폭은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기저효과로 올해 1월과 2월 100만명을 웃돌며 호조를 보였다.
하지만 5월(93만5천명) 이후로는 6월 84만1천명, 7월 82만6천명, 8월 80만7천명, 9월 70만7천명에 이어 10월까지 5개월 연속 감소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에서 20만1천명(4.7%) 늘며 12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최근 제조업 생산이 감소세를 보이고 수출은 꺾이고 있으나, 고용은 경기 후행 지표인 만큼 아직은 호조를 이어가고 있다는 분석이다.
숙박·음식점업은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외부활동 등이 증가하며 15만3천명(7.3%) 늘어나며 6개월째 증가세를 유지했다.
증가 폭도 10월 기준으로 2014년(15만4천명) 이후 8년만에 최대다.
다만 도매·소매업(-6만명), 금융 및 보험업(-1만5천명) 등에서는 취업자 수가 줄었다.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 취업자가 46만명 늘면서 취업자 수 증가를 이끌었다. 전체 취업자 증가분 가운데 절반 이상인 67.9%가 60세 이상이었다.
50대(14만7천명), 30대(6만1천명), 20대 이하(2만1천명)에서도 취업자가 늘었다. 반면 인구가 감소세인 40대에서는 취업자 수가 1만1천명 감소했다.
취업 시간별로 보면 전일제 근로자로 간주하는 주 36시간 이상 취업자 수가 1,373만2천명으로 1년 전보다 279만4천명 감소해 석달 연속 줄었다.
이에 반해 주 36시간 미만 취업자 수는 1,429만9천명으로 345만9천명 급증했다. 10월 기준으로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2년 7월 이후 가장 많다.
이는 조사 주간에 한글날 대체공휴일이 포함됐는데, 대체공휴일에 쉬는 사업자 대상이 지난해 30인 이상에서 올해부터는 5인 이상으로 확대됐기 때문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또 거리두기 해제로 지난해보다 대외 활동이 늘면서 쉬는 사람도 많아진 영향도 있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가 73만8천명 증가했다. 반면 임시근로자는 8만5천명, 일용근로자는 8만명 각각 감소했다.
비임금근로자 가운데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9만9천명,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6만7천명 각각 늘며 증가세를 이어갔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2.7%로 1년 전보다 1.3%포인트 올랐다. 1982년 7월 월간 통계 작성 이래 10월 기준으로 가장 높다.
실업자 수는 69만2천명으로 1년 전보다 9만5천명 줄었다. 실업률은 2.4%로 0.4%포인트 감소했다. 집계 기준이 변경된 1999년 6월 이래 10월 기준으로 최저치다.
공미숙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취업자는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지난해 기저 영향과 경기 둔화 등으로 증가 폭은 둔화했다"며 "계속 이런 흐름을 이어갈지는 금리, 물가, 환율 등의 문제도 있고 외부 불확실성이 높아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도 앞으로의 고용동향에 대해 고용률은 유지 내지 소폭 하락하고 취업자 증가폭은 둔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기재부는 "기저 영향이 마이너스 요인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고물가, 금리인상, 수출위축 등 하방요인이 상존하고 내년에는 경기 불확실성 확대, 기저효과 등으로 증가 폭 둔화가 확대될 것"이라며 "경기 둔화가 고용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구인·구직 미스매치 완화 등 일자리 창출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