떼인 전세금 '역대최대'…HUG, 1911억원 대신 갚았다

입력 2023-03-16 14:28   수정 2023-03-16 15:14

전세보증사고 첫 1천건대…보증금 규모 2천542억원 달해

 
 
임차인이 전세보증금을 제때 돌려받지 못한 보증사고가 지난달 처음으로 월간 1천건을 넘어섰다.
 
16일 한국부동산원이 부동산테크를 통해 공개한 '임대차시장 사이렌'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에서 발생한 전세 보증 사고는 1천121건으로 집계됐다.
 
전세 보증 사고 금액은 2천542억원으로 전월(2천232억원)보다 310억원(13.9%) 늘었다. 사고율도 5.8%에서 6.9%로 상승했다.
 
보증사고는 세입자가 전세 계약 해지나 종료 후 1개월 안에 전세보증금을 되돌려 받지 못하거나, 전세 계약 기간 중 경매나 공매가 이뤄져 배당 후 전세보증금을 받지 못한 경우를 기준으로 집계됐다.
 
보증사고는 수도권에서 999건 발생했고, 지방은 122건이었다. 사고율도 수도권(8.4%)이 지방(2.8%)보다 훨씬 높았다. 특히 서울은 지난달에만 299건의 보증사고가 발생했다.
 
자치구 중에서는 강서구가 102건으로 압도적으로 많은 수를 차지했고, 금천구(32건), 구로구(28건), 양천구(23건) 등이 뒤를 이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집주인을 대신해 세입자에게 대신 갚아준 전세보증금도 역대 최대치를 경신하고 있다.
 
HUG에 따르면 보증 사고로 인한 전세보증금 대위변제액은 2월 1천911억원(834가구)으로 전달(1천694억원)보다 217억원(12.8%) 늘어났다.
 
HUG의 대위변제액은 2013년 9월 해당 상품 출시 이후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2015년 1억원에 불과했던 대위변제액은 2016년 26억원, 2017년 34억원, 2018년 583억원, 2019년 2천836억원, 2020년 4천415억원, 2021년 5천40억원으로 증가했다. 올해 들어 2월까지 누적 대위변제액은 3천605억원에 달한다.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에 가입하는 가구 수도 지난달에만 2만5천719가구로 전월(2만3천241가구)보다 늘었다.
 
아파트 전세가율은 다소 하락했다.
 
2월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은 70.3%로 전달(72.5%)보다는 소폭 낮아졌다.
 
전세가율은 매매가 대비 전세가의 비율로, 이 비율이 높아 전세가가 매매가에 육박하거나 추월하면 세입자가 집주인으로부터 보증금을 떼일 위험이 커진다.
 
부동산원은 해당 월을 기준으로 최근 3개월간의 실거래 자료를 바탕으로 전세가율을 조사하고 있다.
 
임대차시장 사이렌으로 공개되는 전세가율은 실거래가를 기반으로 하므로 매월 시세 기준으로 조사하는 전세가율과는 수치상 차이가 있다.
 
수도권 아파트 평균 전세가율은 65.0%로 올해 1월(67.7%)보다 2.7%포인트 하락했고, 서울도 61.5%에서 58.0%로 낮아졌다.
 
전국의 연립·다세대 전세가율은 1월 80.7%에서 79.6%로 소폭 하락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김현경  기자

 khkkim@wowtv.co.kr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