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부터 온라인으로 은행과 저축은행의 예·적금 상품을 비교하고, 갈아탈 수 있는 서비스가 시작됩니다.
지난 달 대환대출 서비스가 시작된 데 이어 예금 중개서비스까지 등장하면서 금융회사들의 금리 경쟁도 한층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서형교 기자입니다.
<기자>
온라인에서 예·적금 상품을 비교하고 가입까지 ‘원스톱’으로 할 수 있는 예금 중개 서비스가 오늘(21일) 출시됐습니다.
지금까지는 금융소비자들이 직접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으로 상품 정보를 살펴봐야 했지만, 앞으론 플랫폼에서 금리를 비교하고 바로 가입까지 할 수 있습니다.
마이데이터와의 연계를 통해 금융소비자별로 적용받을 수 있는 실질 금리까지 계산할 수 있어 맞춤형 상품을 추천받는 것도 가능해집니다.
오늘 신한은행이 금융권 최초로 서비스를 선보였고, 네이버와 토스 등 핀테크사들도 3분기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이 추산한 중개 시장의 규모는 연간 50조~60조원.
내년부터 중개상품 범위를 수시입출식 상품까지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어 시장이 한층 커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를 바라보는 금융회사들의 속내는 복잡하기만 합니다.
지난달부터 신용대출 갈아타기가 가능해진 데 이어 예금 중개 서비스까지 출시되면서 금융회사들의 '금리 경쟁'이 한층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또 플랫폼에 입점할 경우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는데, 이를 두고 '경쟁사만 배불리는 것 아니냐'는 불만도 나옵니다.
앞서 대환대출 플랫폼의 경우 5대 시중은행이 모두 참여한 곳은 카카오페이뿐이었는데, 이번 예금 중개서비스 역시 은행권 참여가 저조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입니다.
서비스가 성공하기 위해선 얼마나 많은 제휴사를 확보하느냐가 중요한데 현재로선 '반쪽짜리'에 그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실제로 신한은행이 출시한 예금 중개 서비스에서 상품 가입까지 바로 가능한 곳은 신한은행과 신한저축은행뿐이었습니다.
신한은행 측은 "7월 이후 10개 이상의 제휴 금융사를 추가하겠다"는 입장이지만, 다른 시중은행들은 "입점할 계획이 없다"고 전했습니다.
[은행권 관계자: (예금 중개 플랫폼에) 들어갈 거였으면 오픈일 맞춰서 (입점)했겠죠. 대출 플랫폼도 은행들이 모두 다 하고 싶어서 하는 상황은 아니잖아요. 여신도 그런데 수신도 당연히 나서서 할 이유는 없죠.]
금융당국이 은행권의 참여를 끌어내기 위해 실질적인 유인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됩니다.
한국경제TV 서형교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