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인 음극재 생산에 쓰이는 흑연의 수출 통제 조치를 발표한 가운데 우리 정부가 국내 흑연 수급 안정을 위해 산업통상자원부를 중심으로 대응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장영진 1차관 주재로 '민관 합동 흑연 공급망 대응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회의에는 산업통상자원부, 기획재정부, 외교부 등 정부 부처와 국내 배터리 3사, 배터리 소재사, 한국배터리산업협회 등 관련 기관과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정부는 단기적으로 국내 배터리 업계가 차질 없이 흑연을 수급할 수 있도록 이날부터 산업부-유관기관 합동 '흑연 수급 대응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기로 했다. 또한, 흑연 수입 허가 지연 및 반려 사태 방지를 위해 외교 채널을 활용해 중국 측과 협의할 것을 약속했다.
중장기적으로는 국내에서 흑연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해 포스코퓨처엠의 연산 8000t(톤) 규모의 인조 흑연 생산 공장 가동 시기를 내년에서 올해로 앞당기기로 했다. 이러한 대응과 함께 탄자니아, 모잠비크 등 다른 흑연 보유 국가로부터 대체 물량을 확보하고, 실리콘 음극재와 같은 대체재를 연구 개발하는 등 흑연 공급망 자립화와 다변화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회의에 참여한 업계 관계자들은 우리 정부와 중국 정부 간 지속적인 소통과 국내외 안정적인 흑연 공급망 구축을 위한 국가적 지원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강조했다.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은 “중국의 흑연 수출 통제 조치로 우리 배터리 업계의 우려가 커져가는 만큼 모든 가능성을 열고 면밀히 대비하겠다"며 "흑연 수급에 차질이 없도록 민관이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중국은 지난 20일 2차전지 음극재용 고순도 천연흑연 등을 수출 통제 대상 품목으로 추가하는 내용의 흑연 수출 통제 조치를 발표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지난해 2억4천100만 달러(약 3천 2백억 원) 가량의 2차전지 음극재용 인조·천연흑연을 수입했으며 이 가운데 약 93.7%를 중국에서 들여왔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