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어제부터 올 한해를 되돌아보는 시간을 갖고 있는데요. 일단 세계 인플레가 전환점을 돈 것도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이지 않습니까?
- 주요국 인플레, 올해 10월 이후부터 안정
- 美 CPI 상승률, 9월 3.7→10월 3.2
- 유로존 CPI 상승률, 9월 4.3→10월 2.9
- 中 10월 CPI 상승률 -0.2…디플레 재우려
- ‘인플레 불안’ 한국과 일본, 11월 이후 안정
- 日 CPI 상승률, 10월 2.9→2.5로 급락
- 韓 CPI 상승률, 10월 3.8→3.3로 하락
- World Bank “거대한 ‘I’ 공포 끝났다” 선언
Q. 인플레가 안정됨에 따라 금리 인상이 올해 정점을 찍고 마무리 국면에 들어간 것도 빼놓을 수 없는 특징이지 않습니까?
- 기준금리, 올해 3분기를 기점으로 정점 기록
- 연준, 7월 FOMC 0.25p 인상 이후 금리 동결
- BOK, 올해 1월 0.25p 인상 이후 금리 동결
- 인플레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3분기 정점
- 기준금리, 올해 3분기를 기점으로 정점 기록
- 시장 금리, 파월 수수께끼 현상으로 10월 정점
- 파월 수수께끼, 기준금리보다 시장금리 더 상승
- 美 10년물, 연초 3.8→4월 3.3→10월 5→3.9
- 유럽 등 주요국 국채금리, 美와 커플링 현상
Q. 문제는 우리나라입니다. 다른 국가들이 인플레가 일제히 고개를 숙인 반면 우리나라 물가는 잡히지 않고 있어서 대조가 되고 있죠?
- 한은, 2018년 11월부터 가장 먼저 금리 인상 단행
- 올해 7월 2.3 저점, 그 후 3개월 연속 상승세
- 지난 11월 3.3…美 3.1·日 2.5보다 높아
- Shrinkflation·Skimflation 등 숨은 물가 많아
- IMF 전망 “韓 물가, 내년에도 잡기 어려울 것”
- 올해 3.4→3.6·내년 2.3→2.4로 상향
- 총선 겨냥한 포퓰리즘 정책 만연…인플레 뒷전
- 국고채 금리, 美 금리와 ‘trend coupling’ 현상
Q. 올해 외환시장은 어떻게 움직였습니까? 올해 달러 가치는 달러 스마일 이론으로 설명될 수 있지 않습니까?
- 달러 가치, 경기와 주가 따라 ‘스마일’ 모습
- 경기와 주가 침체, 안전통화 부상 ‘달러 강세’
- 경기와 주가 호황, 펀더멘털 반영 ‘달러 강세’
- 침체와 호황 간 회색지대, 달러 가치 하락세
- 작년 10월 이후, 달러 가치 ‘전형적인 스마일’
- 달러인덱스
1년 전 7월 12월
114 99 101
- 1년 전, 킹달러·갓달러 전망…결과적으로 ‘실패’
- 연준의 금리 인하…킹달러와 갓달러는 사라질 듯
Q. 반면, 올해 외환시장을 점검할 때 올해 3월에 발표했던 뉴욕 연은의 ‘달러 임페리얼 서클’ 보고서가 크게 틀린 것도 짚고 넘어가야 할 사항이지 않습니까?
- 뉴욕 연은, 지난 3월 ‘The Dollar’s Imperial Circle’
- 연준, 인플레 안정 위해 긴축→달러 강세→세계 제조업과 교역 감소→신흥국 위기→美 블랙홀
- 美 달러 중심의 브레튼우즈 국제통화체제 강화
- 7월 이후, 달러 가치 상승과 함께 공감대 확산
- 달러인덱스, 7월 17일 99대→11월 1일 107대
- 옐런의 피벗, 국채금리 하락→12월 26일 101대
- 美 금리인하, Dollar’s Imperial Circle은 허구?
Q. 달러 임페리얼 서클과 함께 올해 외환시장을 점검하면서 짚고 넘어가야 할 사안이 있는데요, 엔·달러 환율과 관련해 올해만큼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적은 없었죠?
- 올해 마지막 BOJ 회의, 출구전략 모색?
- 출구전략은 아베노믹스의 역순으로 추진해야
- 아베노믹스, 유동성 공급→부의 금리→YCC
- YCC 정상화, 이번에는 금리 인상과 QT 문제
- ‘대장성 패러다임 vs. 미에노 패러다임’ 갈등
- 전자 ‘엔저와 수출 진흥’·후자 ‘물가 안정’
- 취임 후 고민하던 우에다, 기존 통화정책 유지
- 엔·달러 환율, 되돌림 현상…143∼144대로 상승
Q. 올 한해 원?달러 환율 움직임을 보면 상당한 변화가 있었는데 전체적으로 어땠는지도 짚어주시죠.
- 지난 2월 이후~7월까지, 원화 약세 두드러져
- 2월 초 1228원→7월 말까지 1300원 근접
- 달러 대비 원화 약세 폭, 아시아 통화보다 커
- 원화 변동성, 지난 2월 이후~7월 말까지 7원
- 바트화·루피화·동화·대만 달러화 등보다 커
- ‘원화 최약세’·’동네북 됐다’는 혹평까지 나와
- 지난 2월 이후~7월까지, 원화 약세 두드러져
- 8월 초 이후, 1300원대 초반에서 안정적인 흐름
- 양대 카나리아 조짐 완화…원화 관련 혹평 줄어
Q. 원화에 대해 혹평이 있긴 했지만 이 시간을 통해서는 원·달러 환율을 조금 높게 운용해야 한다고 강조해 주시지 않았습니까?
- 성장률, 인접국과 경쟁국에 비해 너무 낮아
- IMF, 작년 10월 2.0→1.7→1.5→1.3
- 오쿤의 법칙상 GDP갭, 0.5p내외 디플레 갭
- 통화와 재정정책, 경기부양 여지 ‘거의 없어’
- 통화정책, 인플레 잡기 위해 금융완화 힘들어
- 재정정책, 국가채무 증가…재정지출 추진 난망
- 성장률, 인접국과 경쟁국에 비해 너무 낮아
- 통화와 재정정책, 경기부양 여지 ‘거의 없어’
- 수출만 유일한 활로, 원?달러 환율 높게 유지
- 원·달러 환율, 하반기 이후 평균 1320원 내외
Q. 올해만큼 달러, 엔화, 채권, 엔화로 국채 투자 등 다양한 형태로 은행과 증권사에서 투자를 권유했는데요. 성과는 어땠을까요?
- 은행과 증권사, 가장 많이 추천했을 당시 상황
- 달러 투자, 킹달러 용어 나온 작년 4분기 권유
- 원·달러 환율, 작년 10월 1448원→어제 1296원
- 엔 투자, 우에다 일은 총재 취임했던 4월에 권유
- 원·엔 환율, 올해 4월 중순 1004원→어제 910원
- 美 국채, 올해 가장 많이 추천했던 투자수단
- 美 10년물 금리, SVB 사태 3.3→오늘 3.9
- 엔화로 美 국채 투자, 환차손+자본 손실+수수료
지금까지 도움 말씀에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