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먼저 오늘 미 증시 움직임을 보면 역시 IMF의 경고가 시장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죠?
- IMF, 회원국 중앙은행에 ‘볼커의 실수’ 경고
- 세계금융안정 보고서, 성급한 금리 인하 자제
-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약화…국채금리 상승세
- 韓·美·日 재무장관 공조에도 달러인덱스 106대
- 엔·달러 환율도 154엔대 재진입, 공조 무력화?
- 어제 13원 이상 급락한 원·달러 환율, 오늘은?
- 느슨한 형태의 외환시장 공조, 더 위험할 수도
Q. 말씀대로 어제 원·달러 환율이 한미일 재무장관 간의 공조 영향으로 13원 이상 급락했는데요. 이 부분 어떻게 보십니까? 하락세로 돌아선 것으로 보십니까?
- 1370원 이상 상승한 원?달러 환율 놓고 논쟁
- 최상목 경제부총리 “원화 약세 심각하다”
- 이창용 한은 총재 “원화 약세, 일시적 현상”
- 어제 이 총재 태도 변화, 원화 약세 우려스러워
- 어제 韓·美·日 재무장관 환율 공조…13.9원 급락
- 어제 원·달러 환율 1373.9원…여전히 높은 수준
- 외환역사상 1370원대 이상 환율 수준 ‘3차례 기록’
-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외국인 궁금증 증폭
Q. 이창용 한은 총재는 최근 달러 강세가 2022년 11월 당시와 비슷하다고 진단했는데요. 당시와 지금은 많이 다르지 않습니까?
- 1370원 이상의 원?달러 환율, 외환 역사상 ‘3차례’
- 1997년 12월∼1998년 6월, 한국 외환위기
- 2008년 11월∼2009년 3월, 리먼 브라더스
- 2022년 9월∼2022년 11월, 미국 금리인상
- 1370원 이상의 원·달러 환율, 외환 역사상 ‘3차례’
① 韓 외환위기 ② 리먼 브라더스 사태 ③ 美 금리인상
- 이창용 총재, 세 차례 중 3번째 경우에 해당한다고 평가
- 최근 강달러, 달러 스마일 이론 토대 성격과 많이 달라
- 우리 내부적으로도 윔블던 현상이 더욱 심화
- 외부적인 요인도 정책당국에서는 대비할 필요
Q. 방금 말씀하신 달러 스마일 이론은 무엇이고 이 이론을 토대로 볼 때 2022년 11월과 비교해 주시지요.
- 달러 가치, 경기와 주가 따라 ‘스마일’ 모습
- 경기와 주가 침체, 안전통화 부상 ‘달러 강세’
- 경기와 주가 호황, 펀더멘털 반영 ‘달러 강세’
- 침체와 호황 간 회색지대, 달러 가치 하락세
- 22년 10월 이후 달러 가치, 전형적인 스마일
- 달러인덱스
2022년 11월 2023년 7월 현재
114 99 106대
- 경기, 2022년 11월 ‘저점 탈피’…최근 ‘호황 지속’
- 금리, 2022년 11월 ‘급격한 금리인상’…최근 ‘동결’
Q. 한미일 재무장관 간에 오랜만에 이해관계가 맞아 외환 공조에 나서긴 했습니다만 1985년처럼 플라자 체제로 탄생하기는 어렵지 않을까요?
- 韓·美·日 재무장관, 이해관계 맞아 외환 공조
- 美, 의도치 않는 강달러로 쌍둥이 적자 ‘골치’
- 韓·日, 원화와 엔화 약세로 외자이탈 등 부담
- 1980년대 초반 쌍둥이 적자, 일본이 주요국
- 1985년 9월, 달러 악세와 엔화 강세 유도 합의
- 플라자 체제, 1995년 4월 엔·달러 환율 79엔대
- 2024년 쌍둥이 적자, 일본과 한국이 아닌 ‘중국’
- 韓·美·日 외환 공조, 제2 플라자 체제 출범 한계
Q. 방금 말씀하신 현재 중국의 경제 사정을 감안할 때 달러 약세-위안화 강세를 받아들이는 제2의 플라자 체제가 탄생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 아닙니까?
- 올해 1분기 中 성장률 놓고 ‘통계 조작’ 불거져
- 1분기 성장률 5.3…서방 예상치 4.6 상회
- IMF 전망, 작년 5.2에서 올해 4.6로 둔화
- 中, 미해결 내부 과제를 디플레 수출로 해결
- 1차 디플레 수출, 섬유 등 노동집약적 산업
- 2차 디플레 수출, 반도체 등 첨단기술 산업
- 디플레 수출 수단, 위안화 절하 카드 쓰나?
- 美·中, 플라자 합의보다 환율전쟁 확률 높아
Q. 제2 플라자 체제 출범에 한계를 느낀 미국에서도 의도치 않는 달러 강세를 누그러뜨리기 위해 다양한 방안들이 나오고 있는데요. 구체적으로 어떤 방안이 나오고 있습니까?
- CBDC, 즉 ‘디지털 법정통화 시행하자’ 시각
- 글로벌 시뇨리지 포기, CBDC 도입에 장애
- 디지털 달러화와 리디노미네이션 ‘혼란’ 초래
- 달러 수요 축소, 외환거래세 부과 방안 거론
- 달러 매입할 때마다 세금 부과하는 방안
- 강달러 바라는 월가, 강력한 반대가 장애요인
- 韓·美·日 외환 공조처럼 동맹국 간 약달러 유도
- 中에 대해서는 고관세 부과로 무역마찰 재개
Q. 우리 입장에서 원·달러 환율이 추가로 상승하느냐와 안정되느냐는 난기류를 보이는 국내 금융시장 안정 문제와 관련해 중요한 문제이지 않습니까?
- 최근의 윔블던 현상, 외환위기 당시와 달라
- 韓 증시와 환시, “외국인이 받치고 있다” 평가
- 원·달러 환율, 적정선 비해 100원 이상 높아
- 환율구조모형 등을 통해 보면 적정선 1260원
- 피셔의 이론상, 오히려 환차손이 우려되는 때
- 원·달러 환율과 외국인 자금이탈 간 악순환?
- 어제 원·달러 환율 하락, 외국인 자금 유입
- 외환 공조 등 다양한 방안으로 환율 안정시켜야
지금까지 한국경제신문사의 한상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