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26일(현지시간) 레바논에서 친이란 무장단체 헤즈볼라와 휴전하겠다고 발표했다.
네타냐후 총리는 이날 저녁 안보내각 회의 후 영상 연설에서 "레바논에서의 휴전은 이란의 위협에 집중하고, 우리 군을 쉬게 하고, 하마스를 고립시키는 것이 목표"라며 이같이 밝혔다고 AFP,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이스라엘 방송은 안보 내각이 휴전안을 승인했다고 전했다.
네타냐후 총리는 "헤즈볼라가 합의를 깬다면 우리는 이들을 공격할 것"이라며 "헤즈볼라가 국경 부근 테러 시설을 재건하거나, 로켓을 쏘거나, 땅굴을 파거나, 미사일을 실은 트럭을 몰고 오면 우리는 공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휴전 이후에도) 우리는 미국의 완전한 이해 속에 레바논에서 완전한 행동의 자유를 유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우리는 헤즈볼라를 수십 년 전으로 퇴보시켰다"라며 "북부 주민들을 집으로 돌려보내고, 가자지구에 남은 인질을 귀환시키는 것이 우리의 임무"라고 말했다.
네타냐후 총리 발표 직후 나지브 미카티 레바논 총리는 성명을 내 "국제사회가 신속하게 움직여 휴전을 즉각 이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스라엘이 헤즈볼라의 대리로 나선 레바논 당국과 최종 합의를 하면 휴전은 오는 27일 오전 10시에 발효될 것이라고 와이넷, 예루살렘포스트 등이 전했다.
작년 10월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에 기습당하고 헤즈볼라와 교전을 시작한 지 13개월 만에 휴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스라엘군이 지난 9월 헤즈볼라를 향해 '북쪽의 화살' 작전 개시를 선포하고 레바논 남부에서 18년 만에 지상전에 돌입한지 약 2개월 만이다.
미국이 낸 휴전안은 60일간 일시 휴전하며 이스라엘군이 레바논 남부에서 철수하고, 헤즈볼라의 중화기가 이스라엘 국경에서 약 30㎞ 떨어진 레바논 리타니강 북쪽으로 물러나는 내용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스라엘-레바논 '블루라인'(유엔이 설정한 양측 경계선) 국경 지대에 레바논군 수천 명을 추가로 투입해 레바논 주둔 유엔평화유지군(UNIFIL)과 함께 무력충돌을 막는다는 것이다.
휴전 발표에 앞서 이스라엘군은 180여개의 헤즈볼라 표적을 상대로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와 남부 접경지대, 동부 베카밸리 등지에서 대규모 폭격을 가했다.
휴전이 발효되기 전에 헤즈볼라의 남은 위협을 제거하고 또 헤즈볼라에 합의를 위반하지 말라는 경고함과 동시에 휴전 합의에 반발하는 국내 여론을 달래려는 의도로도 해석된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