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는 1% 안팎 하락 마감했다.
미국 소비자들의 기대 인플레이션이 급등한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 주 여러 국가에 상호 관세를 부과할 계획을 발표한다고 예고하자 투자심리가 악화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44.23포인트(-0.99%) 내린 44,303.40에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57.58포인트(-0.95%) 떨어진 6,025.99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268.59포인트(-1.36%) 하락한 19,523.40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미국 소비자들의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이 이례적으로 급등해 투매가 쏟아졌다.
미시간대에 따르면 올해 2월 소비자심리지수 예비치는 67.8로 집계됐는데 이는 지난 1월 확정치 71.1에서 4.6% 감소하고 시장 예상치 71.1도 하회하는 수치다.
시장은 1년 기대 인플레이션에 특히 민감하게 반응했다. 2월의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4.3%로 전월의 3.3% 대비 1%포인트 급등했는데 이는 2023년 11월 이후 최고치며 2개월 연속 큰 폭 상승한 결과다.
미시간대의 조엔 후 디렉터는 "지난 14년간 1개월 사이에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이 1%포인트 이상 상승한 사례는 5번뿐"이라며 "현재 수치는 팬데믹 이전 수준 2.3~3.0%를 크게 상회했다"고 분석했다.
이런 지표가 발표되자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는 일제히 급락세로 전환했다. 나스닥 지수는 장 중 0.36%까지 오름폭을 늘리던 중 한 시간 만에 1%포인트 가까이 떨어졌다.
1년 기대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미국 국채금리가 급등한데다 오후엔 트럼프가 상호 관세 조치를 발표해 시장에 하방 압력을 더했다.
트럼프는 이날 백악관에서 기자에게 "다음 주 월요일이나 화요일에 (상호 관세에 대해) 회의 후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상호 무역이라고 말했지만, 맥락상 상호 관세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미국으로 들어오는 수입품에 대해 수출국이 미국산에 부과하는 관세율만큼 세금을 매긴다는 것이다.
트럼프는 자동차를 대상으로도 관세를 고려 중이라며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강조했다.
이 소식에 거대기술 기업 위주 투매가 쏟아졌다.
애플은 2.40%, 마이크로소프트는 1.46% 떨어졌고 테슬라와 알파벳도 3%대 하락률을 나타냈다. 아마존은 전날 장 마감 후 호실적을 발표했지만 올해 1분기 실적 전망치가 실망스러워 4.05% 밀렸다.
상호 관세 부과 예고에 전통 산업주와 우량주도 투심이 악화됐다. 다우지수 구성 30개 종목 중 엔비디아와 비자, 코카콜라, 셰브론만 강보합을 보였고 나머지 종목은 모두 하락했다.
업종별로 보면 모든 업종이 하락했다. 임의소비재는 2.52% 급락해 낙폭이 가장 컸고 재료와 기술, 통신서비스도 1%대 하락률을 찍었다.
이날 장 중 골드만삭스와 JP모건, 모건스탠리는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반면 나이키와 포드는 52주 최저가를 찍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