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우넷 오늘장전략

[TSMC 매출 13조(35%)...투자확대 유력] -와우넷 오늘장전략

입력 2025-02-11 08:22  

1. 증시 중요 뉴스
1) 뉴욕증시, 철강관세 부과 예고 우려에도 '무덤덤'…나스닥 1%↑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하면서 경제에 미칠 우려가 제기됐지만 10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이에 개의치 않고 3대 지수 모두 상승 마감
-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67.01포인트(0.38%) 오른 44,470.41에 거래를 마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0.45포인트(0.67%) 오른 6,066.4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90.87포인트(0.98%) 오른 19,714.27에 각각 마감
- JP모건의 파비오 바시 크로스애셋전략 수석은 이날 투자자 노트에서 "딥시크를 둘러싸고 나타난 시장 변동성과 관세에 관한 우려는 미국 내 위험자산에 관한 긍정적인 전망을 변화시키지 않는다"라고 평가

2)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발표…"반도체·車도 검토"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예고한 대로 미국에 수입되는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임을 공식 발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해 지난 4일부터 10%의 추가 관세를 적용한 데 이어 국가를 가리지 않는 보편 관세 성격의 관세를 일부 품목에 도입함에 따라 '트럼프발(發) 관세 전쟁'이 본격화하는 양상
- 이번 조처는 주요 대미 철강 수출국 중 하나인 한국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 트럼프 대통령은 첫 임기 때 '무역확장법 232조'를 적용해 국가 안보를 이유로 철강 제품에 25% 관세를, 알루미늄 제품에 10% 관세를 각각 부과한 바 있어. 당시 한국은 미국과 협상을 통해 철강 관세를 면제받는 대신 수출 물량을 제한하는 쿼터제를 수용해 현재 한국은 대미 철강 수출에서 '263만t 무관세'를 적용받고 있는데 향후 여기에도 25%의 관세가 적용될 것으로 예상
- 이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관세도 검토 중"이라고 밝혀 한국의 주요 수출품인 자동차와 반도체도 미국의 관세 부과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관측

3) 뉴욕유가, 러 원유 생산, 목표치 미달…WTI 1.9%↑
- 올해 1월 러시아의 원유 생산량이 목표치를 밑돌면서 국제유가가 상승
- 10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3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 71.00달러 대비 1.32달러(1.86%) 상승한 배럴당 72.32달러에 거래를 마감
-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4월 인도분은 전장보다 1.21달러(1.62%) 오른 배럴당 75.87달러로 마무리

4) 다누리 임무수행 2년 더 … 달에 더 가까이 간다
- 한국 최초 달탐사선 다누리가 당초 계획보다 2년 연장된 2027년 말까지 달 궤도를 돌게 돼. 이 중 7개월 동안은 기존보다 40㎞가량 고도를 낮춰 달에 가까이 다가가고, 이후 동결궤도로 진입. 국내 과학계로서는 새로운 달 궤도에 진입해 운영 경험을 쌓고 추가 관측 자료를 확보할 수 있어
- 임무 연장 후 첫 7개월간 다누리는 고도를 60㎞까지 낮춰 달 표면을 관측. 현재 다누리는 100㎞ 안팎의 궤도에서 약 2시간에 한 번씩 달 주변을 돌고 있어. 고도가 낮아지면 좀 더 세밀한 관측 결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
- 한국 첫 달탐사선 다누리는 2022년 8월5일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스페이스X의 팰컨9에 실려 우주로 나가. 2022년 12월27일 발사 145일차에 달 임무궤도 진입에 성공했고 2023년부터 예정된 과학연구를 진행. 다누리는 지구∼달 전이 과정에서 성공적인 발사·관제·항행으로 약 30㎏의 연료를 절약. 2022년 말 기준 약 86㎏의 연료가 남은 것을 감안해 1차로 올해 말까지 2년간 임무를 연장
#에이치브이엠 #LK삼양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루미르 #세트렉아이 #AP위성

5) K-양자기술에 올해 2000억원 투자한다
- 정부가 양자과학기술과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해 올해 2000억원에 육박하는 전용 예산을 편성하고 신규 사업과 과제를 본격 추진. 양자컴퓨터를 국내에 도입해 연구 현장에 제공하는 인프라 구축 사업이 중점적으로 추진될 전망. 이를 통해 10년 후 30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양자컴퓨팅 시장에서 미국, 중국과 함께 한국이 글로벌 3강에 오르겠다는 구상
- 주요 신규 사업으로 ‘양자컴퓨팅 서비스 및 활용체계 구축’을 추진. 성능이 검증된 양자컴퓨터를 국내에 설치하고 연구 현장에 제공해 양자컴퓨팅 상용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목표. 이 사업에는 올해 28억5000만원을 시작으로 4년간 총 496억원을 투자. 양자통신기술 소재를 국산화해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퀀텀 정보통신기술(ICT) 엔지니어링 기술 개발’ 사업과 새로운 양자정보 계측 방법을 연구하는 ‘양자정보 계측방법론 및 원천기술 개발’ 사업도 추진
- 한국은 그간 양자 기술 불모지라는 평가를 받아. 과기정통부가 지난해 7월 발표한 ‘글로벌 기술 수준 지도’에 따르면 미국의 양자컴퓨터 기술을 100점이라고 할 때 한국은 2.3점에 불과. 중국은 35점으로 미국에 이어 2위에 올라. 미국 정보혁신재단(ITIF)에 따르면 중국은 양자에 누적 150억달러(약 21조원)를 투자. 최근엔 계산 속도 기준 세계 2위 슈퍼컴퓨터인 ‘프런티어’가 풀 수 없는 문제를 푸는 105큐비트 양자컴퓨터 ‘쭈충즈3.0’을 개발했다고 주장
#엑스게이트 #우리넷 #우리로 #SGA솔루션즈 #아이윈플러스 #아이씨티케이

2. 전일 미국 · 유럽 증시
- 다우산업 : 44470.41 (+167.01p, 0.38%)
- S&P500 : 6066.44 (+40.45p, 0.67%)
- 나스닥 : 19714.27 (+190.87p, 0.98%)
- 영국 FTSE100 : 8767.8 (+67.27p, 0.77%)
- 프랑스 CAC40 : 8006.22 (+33.19p, 0.42%)
- 독일 DAX : 21911.74 (+124.74p, 0.57%)
- 유로스톡스50 : 5358.3 (+32.9p, 0.62%)

- 주요뉴스 및 시황
- 트럼프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관세도 검토 중"
- 뉴욕상품거래소에서 4월물 금 선물가격은 전날 대비 46.8달러(+1.62%) 상승한 온스당 2,934.40달러에 거래를 마감
- 미국 국채 2년물 금리는 직전 거래일 대비 .-bp 내린 4.279%를 기록
-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는 직전 거래일 대비 01.4bp 오른 4.501%를 기록
-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인덱스는 전장대비 0.35% 내린 107.92을 기록

3. Today 관심 레포트
- 에스엠 : 관심 없다고? 나 지금 서프 났는데? (유진투자증권, BUY, 목표주가 11.5만원)
- 4분기 매출액은 2,738억원(+9.0%yoy), 영업이익은 340억원(+274.7%yoy)으로 시장 컨센서스 상회. ? 공연과 MD 매출이 외형을 견인한 가운데, 연결 자회사의 손실 폭이 크게 줄어들며 연결 수익성 개선
- 특히 인상적인 부분은 공연 매출이 가장 낮은 분기였음에도 불구하고 MD 매출이 512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점인데, 공연연계 기획 MD 및 팝업스토어 등에서의 판매 호조 영향. 불과 4년 전만해도 분기 평균 100억원 대를 기록하던 MD 매출이 지금은 분기 평균 400억원대를 바라볼 정도로 빠르게 성장한 점 긍정적이며 다양한 상 품 개발을 통해 수익성 높은 사업에 집중하는 점 주목할 만함
- 별도에서는 SM 3.0 체제 하에서 매년 신인 아티스트가 최소 2팀 이상 데뷔하며 아티스트의 세대 교체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 고, 연결에서는 그동안 주가를 억눌러왔던 주요 자회사들에서의 턴어라운드를 통한 실적 개선 기대. 1분기는 상대 적으로 밋밋한 분기가 되겠지만, 2/24일 데뷔 예정인 신인 걸그룹을 시작으로 2분기부터는 다양한 아티스트의 활 동이 본격적으로 이어지며 주가도 실적도 우상향할 것으로 전망

- 두산밥캣: 4Q24 Re 아직은 부진, 그래도 밥캣은 밥캣 (신한투자증권, BUY, 목표주가 5.3만원)
- 4분기 실적에서는 일회성 환입으로 기대치를 상회, ’25년도 실적은 시장 둔화에 따라 더딘 회복을 예상. 지배구조 재편 무산 이후 첫 경영진 간담 회를 실시, ’30년까지의 중장기 로드맵을 발표. 현재 주가에서도 주주환원 율은 4% 수준. 밥캣의 높은 시장 지배력과 적극적인 사업 확장 정책으로 중장기 성장을 기대. 신뢰 회복의 첫걸음에서 중장기 투자 관점 유효
- [4Q24 실적] 매출액 15.3억불(-13%, 이하 전년동기대비), 영업이익 1.3억 불(-34%), 영업이익률 8.4%(-2.7%p)를 기록. 원화 기준으로 매출액 2조 1,423억원(-8%), 영업이익 1,802억원(-30%)이며 컨센서스 대비 각각 +19%, +36%(컨센서스 1,327억원)의 호실적. 인건비 관련 환입이 반영
- [전망] ’25년 가이던스로 매출액 64억불(+2%), 영업이익 6억불(-6%)를 제 시. 시장의 더딘 회복, 판매처 다각화로 믹스 악화, 생산 조정 등. 미국 내 생산이 67%로 관세 영향이 적음. 기존 3건의 성공적 인수합병. ’30년 매출 액 120억불로 연평균 12%의 성장 목표를 제시(유기적 성장 90억불, 비유 기적 성장 30억불), 인접 영역으로서의 사업 확장 및 인수합병 추진

- 파마리서치: 4Q24 Review: 연어의 질주 (한국투자증권, BUY, 목표주가 33만원)
- 4분기 잠정 실적은 매출액 1,026억원(+46.7% YoY, 이하 YoY), 영업이익 336 억원(+64.8%, OPM 32.7%)으로 컨센서스 대비 매출액은 9.5% 상회하고, 영업 이익은 부합. 국내외 리쥬란 수요가 여전히 강한 가운데 3분기에 부진했던 화 장품 부문이 회복하며, 매출액은 전분기 대비 15.1% 성장
- 반면 영업이익률 은 32.7%로(-6.4%p QoQ) 하락했는데, 매년 4분기마다 발생하는 강릉문화재단 기부금(약 20억원)과 글로벌 심포지엄 비용(10억원 후반) 외에도 R&D/지급수수료/광고비 등 주요 판관비 계정이 전반적으로 확대. 판매 채널 확장에 따른 수 수료 증가, 국내외 온라인 마케팅 확대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 글로벌 확장이 가속화되고 있는 만큼 광고비 확대 추세는 올해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
- 1) 의료기기는 615억원(내수/수출, +16%/+34% QoQ)을 기록했다. 내수는 우려 와 달리 내국인과 외국인 수요가 모두 견조했고, 수출은 지역 전반에서 증가한 가 운데 특히 일본/인도네시아/동유럽의 성장률이 높아. 2) 화장품은 228억원(내수 /수출, +50%/+27% QoQ)으로, 내수와 수출 모두 전분기 대비 회복. 3분기 화장품 매출 감소의 원인이었던 국내 면세점/올리브영 채널 및 중국향 판매가 회복세를 보여. 3) 의약품은 142억원(내수/수출, +5%/+0%)으로, 예상과 같이 톡신의 Capa 부족 영향으로 제한된 성장세를 나타내.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