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12일 강남 일대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해제하면서 향후 집값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투자 수요자들이 매수에 나서며 당분간 거래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일부 재건축 단지를 제외하고는 사실상 거의 모든 단지가 허가 대상에서 제외됨에 따라 당분간 해당 지역에선 거래가 늘어나며 가격 상승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해제 지역은 핵심 지역으로 이전에도 집값이 과열 양상을 보여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였다는 점에서 예상된 수순이라는 평가다.
실제로 이들 지역에선 해제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호가가 1억~2억원씩 상승했으며 실제로 신고가 거래도 속출했다.
리센츠 전용면적 124㎡는 작년 37억5천만원에 이어 지난달 37억원에 거래됐다. 래미안대치팰리스 114㎡도 올해 초 52억9천만원에 거래되며 최고가를 경신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매매가 지수는 소폭 올랐다. 송파구와 서초구는 평균치를 웃돌았다. 시장은 이번 해제로 높아진 호가에 맞춰 거래가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매물을 거둬들이는 소유주들과 함께 투자를 망설였던 수요층이 갭투자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지방 거주민의 원정 투자도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김은석 직방 빅데이터랩실 랩장은 "이제 투자 수요가 더해질 수 있는 환경이 갖춰진 셈이어서 멈췄던 투자 목적 거래가 재개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문가들은 투자 목적 거래가 재개되고, 갭투자 및 외지인의 매입이 단기적으로 주택 가격 과열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도 "갭투자라든지 지방 외지인의 매입이 단기적으로 늘어나며 일시적인 주택 가격 과열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강남권 '똘똘한 한 채' 선호가 크며, 전세 끼고 구입하는 수요가 강해 매도자 우위 시장이 될 가능성이 있다. 이는 집값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이휘경 기자
ddehg@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