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우넷 오늘장전략

메타 20일연속 상승...휴머노이드 경쟁 본격화 - 와우넷 오늘장전략

입력 2025-02-17 08:28  

1. 증시 중요 뉴스
1) 뉴욕증시, 관세·경기 불확실성 지속에 혼조…다우 0.4%↓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정책 및 경제 영향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14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혼조로 마감
-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65.35포인트(-0.37%) 내린 44,546.08에 거래를 마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0.44포인트(-0.01%) 내린 6,114.63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81.13포인트(0.41%) 오른 20,026.77에 각각 거래를 마감
- 이날 발표된 1월 미국의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9% 줄어 전월 대비 0.2% 감소를 예상한 전문가들의 전망보다 훨씬 큰 폭의 감소를 기록. 국내총생산(GDP) 산출에 직접 반영되는 핵심 소매판매(통제그룹)도 0.8% 감소. 다만, 이날 소매판매 감소가 지난달 몰아친 한파와 로스앤젤레스 대형 산불 등 일회성 요인 영향을 받았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이날 증시 영향력은 제한적

2) 러 편든 美에 유럽 반발…'대서양 동맹' 균열
- 15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의 키스 켈로그 우크라이나·러시아 특사는 이날 독일 뮌헨안보회의에서 ‘계획된 협상 테이블에 유럽도 포함되느냐’는 질문에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답go. 종전 협상에 유럽이 배제될 수 있음을 시사. 그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문제에 너무 많은 국가가 관여해 협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며 “우리는 대규모 토론장이 되는 것을 원치 않는다”고 말해
- 트럼프 대통령이 푸틴 대통령과 종전 협상을 개시하겠다고 하면서 우크라이나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가입과 영토 회복에 부정적으로 발언한 것을 두고 유럽 정상들은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않아.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지난 14일 파이낸셜타임스(FT) 인터뷰에서 “항복과 다름없는 평화를 허용하는 것은 미국을 포함한 모두에게 나쁜 소식”이라며 “영토와 주권 논의는 우크라이나가 단독으로 할 일”이라고 말해.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는 “강요된 어떤 평화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혀
- 종전 협상 배제 위기에 내정 간섭성 발언까지 나오자 유럽 지도자들은 공동 대응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미국 정치 매체 폴리티코에 따르면 마크롱 대통령은 마르크 뤼터 NATO 사무총장, 영국·폴란드·이탈리아 정상 등과 17일부터 파리에서 비공식 정상회담을 하기로 해. 가디언은 “마크롱 대통령의 신속한 움직임은 미국 주도의 종전 협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는 위기를 느낀 유럽의 불안감을 보여준다”고 해석

3) 뉴욕유가, 미국-우크라 종전 논의 개시…WTI 0.8%↓
- 미국과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관련 논의를 시작하면서 원유 공급 우려가 완화, 국제유가가 하락
- 14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3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 71.29달러 대비 0.55달러(0.77%) 하락한 배럴당 70.74달러에 거래를 마감
-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4월 인도분은 전장보다 0.28달러(0.37%) 떨어진 74.74달러에 마무리

4) 삼성바이오 美·유럽 또 뚫었다 10조 골질환 치료제 시장 공략
- 삼성바이오에피스는 16일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유럽 집행위원회(EC)로부터 골질환 치료제 '프롤리아'와 '엑스지바'의 바이오시밀러 2종에 대한 승인을 받았다고 밝혀. 프롤리아와 엑스지바는 글로벌 제약사 암젠이 개발한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
- 파골세포 생존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단백질 'RANKL'에 결합해 파골세포가 활성화하는 것을 막는 기전을 갖고 있어. 투약 주기와 용량에 따라 골다공증 치료제인 프롤리아와 골거대세포종, 다발성 골수종 등의 치료제인 엑스지바로 나뉨. 지난해 두 제품의 연간 합산 글로벌 매출액은 65억9900만달러(약 9조7000억원)에 달해. 물질 특허의 경우 미국에서는 올해 2월, 유럽에선 11월에 만료
- 이로써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미국에서 10종, 유럽에서 11종의 바이오시밀러 라인업을 구축. 기존에 출시한 자가면역질환, 종양질환, 안과질환, 희귀질환 치료제에 더해 이번 골질환 분야까지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한 것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셀트리온제약 #한올바이오파마 #한미약품 #녹십자

5) 메타도 참전 … 판 커지는 휴머노이드 경쟁
- 테슬라가 포문을 연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 경쟁에 빅테크 기업들이 잇따라 참전하고 있어. 오픈AI, 구글, 애플 등이 시장에 뛰어든다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메타도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을 시작한다는 보도가 나와
- 메타는 집안일을 하는 자체 휴머노이드 로봇 하드웨어 개발을 우선적으로 검토 중이며, 이후 로봇에 들어가는 AI와 센서, 소프트웨어(SW)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메타는 중국 유니트리로보틱스, 테슬라 옵티머스의 라이벌로 꼽히는 피규어AI 등과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논의를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 한편 투자은행 모건스탠리가 공개한 '휴머노이드 100'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이후 인간형 로봇을 발표한 66개 기업 중 중국이 61%, 미국·캐나다가 24%를 차지해 미국과 중국이 이 시장을 이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일본 기업은 3곳이고, 한국 기업은 삼성전자가 인수한 레인보우로보틱스가 유일. 중국에서는 스타트업 외에도 대형 테크 기업인 샤오미, 텐센트 등이 로봇을 출시
#휴림로봇 #레인보우로보틱스 #유진로봇 #로보로보 #로보티즈 #로보스타

2. 전일 미국 · 유럽 증시
- 다우산업 : 44546.08 (-165.35p, -0.37%)
- S&P500 : 6114.63 (-0.44p, -0.01%)
- 나스닥 : 20026.77 (+81.13p, 0.41%)
- 영국 FTSE100 : 8732.46 (-32.26p, -0.37%)
- 프랑스 CAC40 : 8178.54 (+14.43p, 0.18%)
- 독일 DAX : 22513.42 (-98.6p, -0.44%)
- 유로스톡스50 : 5493.4 (-7.1p, -0.13%)

- 주요뉴스 및 시황
- 전기차 배터리 인증제·이력 관리제 오늘부터 시행
- 뉴욕상품거래소에서 4월물 금 선물가격은 전날 대비 44.7달러(-1.51%) 상승한 온스당 2,900.70달러에 거래를 마감
- 미국 국채 2년물 금리는 직전 거래일 대비 .0.5bp 내린 4.261%를 기록
-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는 직전 거래일 대비 .0.7bp 내린 4.478%를 기록
-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인덱스는 전장대비 0.60% 내린 106.57을 기록

3. Today 관심 레포트
- LIG넥스원 : 약속된 미래 성장 (삼성증권, BUY, 목표주가 32만원)
- 4분기 영업이익은 시장 예상을 19% 상회. 이는 매 출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 순이익도 세액공제 효과가 반영되며 컨센서스를 125% 상회. 호 실적으로 판단. 다만, 매출액 증가 대비 영업이익의 증가분은 크지 않은 편. 즉, 영업이익률 은 예상을 하회. 이는 우선 연말 수주 급증에 따른 충당금 때문. 참고로, 회사는 저수익 개 발 프로젝트 수주 시 관련된 미래 비용 부담을 충당금으로 설정해 왔으며, 수주가 집중되는 4분기에 관련 영향이 컸던 편. 올해는 그 규모가 ‘예상’보다 컸던 편. 여기에 회사가 인수한 로봇기업인 고스트로보틱스가 연결 회계에 편입된 것도 이익률에는 부담으로 작용.
- 회사는 4분기에만 3.5조 원의 수주를 확보. 이는 2024년 연 간 수주(4.6조)의 77%. 놀라운 점은 4분기 수주 실적에 사우디로의 천궁 수출 수주가 포함 되지 않았다는 점. 해당 수주는 언론에서 최소 3조원 이상의 규모로 보도해 왔던 프로젝트 이며 2025년에 수주로 인식될 예정. 수주 급증으로 회사의 연말 수주 잔고는 20조원을 돌 파. 역사상 최고 수준이며, 7년 연속 수주 잔고 증가세가 유지된 것.
- 급격한 수익성 개선을 기대하기에 올해는 다소 이른 시점. 현재 대규모 투자 가 진행 중이고, 수출 수주와 매출 인식 사이에 상당한 시차가 존재하는 주력 제품의 특성 때문. 본격적인 리레이팅은 올해보다 2026년. 하지만, 거듭되는 대규모 수주로 매출은 당장 올해 추정치도 상향 여지가 존재

- 휴메딕스: 2025년 필러 해외진출 스케쥴이 많다 (상상인증권, BUY, 목표주가 5만원)
- 2024년 4분기 매출액이 367억원(YoY +2.1%), 영업이익은 101억원(YoY +93.0%). 당리서치에 매출은 소폭 못 미쳤으나 영업이익은 예상수준. 영업이익이 회복한 것은 마진 좋은 필러(엘라비에)가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결과. 2025년 영업실적 성장이 기대.
- 첫째, 필러 수출이 고성장 중. 2024년 4분기에 전체 필러(엘라비에, 리볼라인) 매출은 138억원(YoY +10.0%)으로 증가. 특히 필러 수출이 전년 동기대비 83.3% 증가한 110억원을 기록한 결과. 그 중에서도 브라질향 수출이 2023년 연간 80억원에서 2024년 160억원 수준으로 급성장. 이로 인해 2024년 필러 수출은 전년보다 45.7% 증가한 370억원을 기록. 2025년 하반기에는 브라질에서 큰 시장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필러 품목 승인을 받아 전체 브라질 필러 수출이 200억원을 초과할 전망
- 2분기에 태국에 엘라비에와 리볼라인을 출시할 예정이고, 하반기에는 베트남에 엘라비에를 출시할 예정. 따라서 2025년에는 필러 수출이 대폭 증가하면서 전사 매출을 견인할 수 있을 전망. 또한, 4분기 전문의약품(수탁)은 78억원(YoY +8.3%)으로 성장 중. 2023년에 증설된 바이알/주사제공장 효과가 2024년 4분기에도 계속 나타난 것으로 분석됨

- 크래프톤: D?j? vu: 다시 올라갈 것 (NH투자증권, BUY, 목표주가 55만원)
- 2025년에도 PUBG의 높은 성장이 예상되는 가운데, 인조이, 서브노티카2, 블랙버짓, Blindspot, Valor 등 신작에 대한 기대감도 반영될 전망 4분기 실적 발표 이후 3천억원 규모의 투자가 비용 부담으로 작용할 것을 감안 하여 주가는 조정을 받음. 기존에도 매년 1천억원 정도의 인건비 증가가 있었고, 개발사의 인력 투자는 파이프라인 확장을 위함임을 감안할 때 시장의 우려는 과도하다고 판단
- 크래프톤의 4분기 실적은 매출액 6,176억원(+15.5% y-y, -14.1% q-q), 영업 이익 2,155억원(+31.1% y-y, -33.6% q-q)으로 영업이익은 시장 기대치 하 회. PC 매출(2,326억원, +39.2% y-y)은 양호하나, 중국 화평정영을 비롯한 모 바일 매출(3,662억원, +5.7% y-y)이 기대치에 못 미치며 부진. 다만, 4분기 실 적 부진이 만든 2025년 기저 효과로 성장성은 오히려 부각될 것. 1분기 성수기 진입과 1월 이후 화평정영의 매출 순위 반등으로 1분기 영업이익은 회복 기대
- 이번 주가 조정으로 2025년 PER은 다시 10.0배 수준으로 떨어 졌고, valuaiton은 매력적인 구간에 진입 2024년 3분기 실적 발표 이후, 지금과 똑같이 실적 피크아웃 우려로 주가가 조 정 받았으나, 이후 다시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고 이번에도 당시 그림과 크게 다르지 않을 전망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