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는 시장은 고점 부담으로 큰 폭의 움직임은 자제한 가운데 강보합으로 마감했다.
워싱턴발 관세 조치가 추가로 없었던 이날,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의사록에서 매파적 기조가 확인됐지만 예상을 벗어나지 않은데다 양적 긴축 속도 조절 가능성도 언급되어 시장은 크게 반응하지 않았다.
19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1.25포인트(0.16%) 오른 44,627.59에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4.57포인트(0.24%) 상승한 6,144.15, 나스닥종합지수는 14.99포인트(0.07%) 오른 20,056.25에 거래를 마감했다.
S&P500은 이날도 사상 최고치를 경신해 전날에 이어 이틀 연속 최고치를 돌파했다.
트럼프는 이번 주 초 자동차와 반도체, 의약품에 최소 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지만 시행일을 4월 2일로 잡아 협상 여지를 남겼다. 이에 증시는 보합권을 형성한 가운데 고점 부담 속 혼조 양상을 이어가고 있다.
오후에 1월 FOMC 의사록이 발표됐는데, 시장 예상대로 통화정책과 관련해 FOMC 위원들은 매파적 분위기였지만 양적긴축 속도를 조절할 필요성도 언급했다. 이는 통화 완화적인 재료로, 의사록 발표 후 주요 주가지수는 낙폭을 줄이거나 상승세로 전환했다.
의사록에 따르면 대부분 위원들이 "현재 높은 불확실성으로 통화정책 기조의 추가 조정을 신중하게 고려하는 것이 적절하다"며 "연방기금금리 목표 범위의 조정을 고려하기 전에 디스인플레이션 증거를 추가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업종별로 보면 재료가 1% 이상 내렸고 금융은 약보합을 나타냈다. 나머지 업종은 모두 강세를 보였고 의료건강이 1% 이상 올랐다.
거대 기술기업 '매그니피센트7'은 혼조 양상이었다. 신제품 아이폰16e를 발표한 애플과 알파벳은 강보합에 머물렀고, 마이크로소프트(MS)와 테슬라는 1%대 상승률을 나타냈다. MS는 이날 자체 개발한 첫 양자 컴퓨팅 칩 '마요라나1(Majorana 1)'을 발표했다.
엔비디아와 아마존은 약보합이었다. 메타플랫폼스는 20거래일 연속 상승세가 전날 하락으로 중단된 후 이날도 1% 이상 내렸다.
인공지능(AI) 데이터 기업 팔란티어는 이날 주가가 10% 이상 급락했다. 트럼프 행정부와 피트 헤그세스 국방부 장관이 고위 국방부 관료들에게 향후 5년간 국방 예상을 8%씩 삭감하는 계획을 수립하라고 지시했다는 보도가 나온 영향이다.
한때 제2의 테슬라로 불린 수소전기트럭 제조업체 니콜라는 경영난에 허덕이다 결국 챕터11 파산신청서를 제출하면서 주가가 39% 폭락했다.
인텔은 주가가 6% 넘게 떨어졌다. TSMC와 브로드컴이 분할 인수할 수 있다는 기대감에 최근 급등해 피로감이 쌓인 것으로 풀이된다.
모건스탠리의 시미언 것만 분석가는 월마트에 대해 주당 목표가를 현재 주가보다 약 47%나 높은 153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월마트는 오는 20일 4분기 실적을 발표한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