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전국의 합계출산율이 모처럼 오른 가운데 전국에서 출산율이 가장 낮은 서울에서도 9년 만에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통계청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합계 출산율은 0.58명으로 전년 0.55명보다 소폭 올랐다. 이는 시·구청에 들어온 출생 신고를 기초로 한 잠정치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가임기간(15∼49세)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뜻한다. 서울의 합계출산율은 2015년 1.00명을 기록한 이후 계속 하락하다 지난해 9년 만에 반등했다.
전국 합계출산율은 0.75명으로 서울은 17개 광역시·도 가운데 가장 출산율이 낮다.
지난해 서울 출생아 수는 4만1천553명으로 전년 3만9천456명보다 2천97명 늘었다.
25개 자치구 가운데 합계출산율이 가장 높은 곳은 성동구였으며, 금천·강북·중랑· 영등포·노원구 등 5개 자치구에서는 출산율이 떨어졌다.
성동구의 합계출산율은 0.71명으로 가장 높았다. 전년 대비 상승 폭도 0.071명으로 가장 컸다.
강남·양천·구로구도 전년 대비 0.06명가량 합계출산율이 올랐다.
그러나 금천구(0.039↓), 강북구(0.028↓), 중랑구(0.013↓), 영등포구(0.005↓), 노원구(0.003↓) 등 5개 자치구에서는 전년보다 합계 출산율이 낮아졌다.
서울시 관계자는 "코로나19 탓에 미뤄졌던 결혼 수요가 엔데믹 이후 쏟아지면서 출산도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며 "자치구별로는 신규 아파트 입주 물량이나 신혼부부들의 선호도에 따라 차이가 발생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 자치구마다 출산 장려 지원금에 편차가 있어 이런 현금 지원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