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멕시코와 캐나다에 부과한 25% 관세 중 상당한 부분에 대해 약 1개월간 유예하기로 결정했다.
전날 멕시코, 캐나다산 자동차에 대해 1개월 관세 면제를 결정했는데 또 면제 적용 대상을 크게 확대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수입되는 제품 중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이 적용되는 품목에 대해 내달 2일까지 '25% 관세'를 면제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고율관세가 미국 경제에 주는 타격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자 미국 업체 주가가 급락하는 등 미국 경제에도 여파가 미쳤다.
또 관세가 미국 내 자동차 소비자 가격의 급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우려에 미국 주요 자동차 메이커들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관세를 재고할 것을 요청했다.
백악관 당국자는 이날 전화 브리핑에서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25% 관세는 펜타닐 유입 차단이 목적이라면서 두 나라가 펜타닐 유입 차단을 위해 해온 노력을 평가했다.
그는 "4월2일 우리는 상호 관세로 넘어갈 것"이라며 "멕시코와 캐나다가 펜타닐 부문에서 충분한 노력을 해서 이 논의(펜타닐 관련 관세)는 의제에서 빠지고, 상호 관세 대화로 넘어갈 수 있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미국은 4월 2일 전 세계 각국의 대미 관세율과 비관세 장벽 등을 고려해 '상호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멕시코, 캐나다에 대한 25% 관세도 유예기간이 지나면 상호 관세로 수렴될 것으로 보인다.
작년 무역 통계상 멕시코산 수입품 중 USMCA 적용 대상과 그렇지 않은 제품은 거의 반반이고, 캐나다산 수입품은 38%가 USMCA 적용 대상이며, 62%가 비대상이라고 백악관 당국자가 소개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과 통화한 뒤 소셜미디어(SNS)에 글을 올려 "멕시코에 USMCA에 해당하는 모든 상품에 대한 관세를 요구하지 않는 데 나는 동의했다"라면서 "이는 4월 2일까지 유효하다"고 말했다.
셰인바움 대통령도 이날 엑스(X·옛 트위터)에 이 같은 트럼프 대통령의 글을 리트윗하며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것처럼 USMCA 적용을 받는 모든 제품은 멕시코가 관세를 부담할 필요가 없다"며 이 같은 합의가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발표가 이뤄지는 4월 2일까지 유효하다고 밝혔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 글 앞에 올린 별도 SNS에서 "쥐스탱 트뤼도는 끔찍하게 일했음에도 불구하고 다시 총리직에 출마하기 위해 관세 문제를 이용하고 있다고 나는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결국 캐나다에 대해서도 멕시코와 같은 관세 유예 조치를 적용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