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수 경기 침체로 폐업이 속출하며 자영업자가 최근 두 달간 20만명 넘게 감소했다.
국내 자영업자 수는 코로나 사태 당시 수준인 550만명으로 떨어졌다. 이는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당시인 1997년보다도 적다.
10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월 자영업자 수는 550만명으로 집계됐다. 엔데믹(풍토병으로 굳어진 감염병) 직전인 지난 2023년 1월 이후 가장 적은 숫자다.
엔데믹 후 자영업자 수는 점점 더 늘어나다가 작년 11월 570만여명에서 20만명 이상 감소했다.
자영업자 수는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당시인 1997년(590만명), 1998년(561만명),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년(600만명), 2009년(574만명)보다 적은 수준이다.
자영업자는 560만∼570만명 수준을 유지하다 2020년 코로나 사태에 직격탄을 맞고 550만명대로 줄었다. 이후 엔데믹 직전인 2023년 1월 549만명까지 줄었다가 회복세를 이어왔지만 작년 말 다시 급감했다.
전문가들은 내수 부진 등 경기 침체 장기화를 요인으로 지목했다.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과 교수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거리두기 등 조치가 해제된 지 오래됐지만 외식 등 외부 소비를 줄이는 소비 행태는 그대로 굳어있다"며 "여기에 고물가와 고금리 상황이 이어지면서 장사하기가 매우 어려워졌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작년 말 자영업자 급감한 것은 '코로나만 지나면 괜찮아지겠지'라며 희망을 갖던 자영업자가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줄폐업한 영향"이라며 "올해에도 계속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코로나 대출 만기 연장이나 이자 상환 유예 조치 등 각종 지원 정책이 끝나고, 내수 침체가 계속 이어지면서 더 이상 버티지 못하는 자영업자가 속출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자영업자들도 매출이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지 않은 가운데 물가 상승이 덮쳐 영업 부담이 크다고 토로한다.
부천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정모씨는 "코로나 때부터 꾸역꾸역 버티던 점주들이 두 손 들고 장사를 접고 있다"며 "배달앱 수수료와 배달비 부담이 커진 데다 물가가 많이 올라 원재료비 부담이 늘어난 것이 경영난의 원인"이라고 말했다.
서울 양천구에서 제과점을 운영하는 한 업주도 "버터부터 밀가루, 우유 등 가격이 안 오른 재료가 없는데 손님은 계속 줄고 있어 걱정"이라고 했다.
한국경제인협회가 최근 모노리서치에 의뢰한 자영업자 500명 대상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자영업자는 원자재·재료비(22.2%), 인건비(21.2%), 임차료(18.7%), 대출 상환 원리금(14.2%) 순으로 부담이 크다고 응답했다.
또한 응답자들은 작년 순이익이 전년 대비 13.3% 줄었다고 답했다. 순이익이 감소했다는 응답 비율은 72.0%, 증가했다는 응답은 28.0%였다. 올해도 순이익과 매출이 줄어들 것이라는 응답 비율은 각각 62.2%, 61.2%였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