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가 자동차 생산 규모가 세계 7위로 내려앉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난해 내수 부진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는 10일 발표한 '2024년 세계 자동차 생산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 자동차 생산은 전년 대비 0.5% 줄어든 9천395만대로, 2020년 코로나19에 따른 생산 급감(-15.4%) 이후 처음 감소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생산이 줄어든 것은 일본(-8.5%) 생산 부진이 주요 원인이었다. 일본차 업계는 도요타, 혼다 등의 품질 인증 문제를 겪었다. 또 태국(-20.0%), 스페인(-3.0%), 한국(-2.7%) 등도 생산이 줄었다.
국내 자동차 생산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413만대로 글로벌 7위로 순위가 하락했다.
한국은 수출 대수는 증가(0.6%)했지만 내수 판매가 2013년 이후 최저치인 163만5천대(-6.5%)로 떨어진 탓이다.
중국, 미국, 일본, 인도, 독일, 멕시코가 한국보다 상위에 올랐다. '톱4' 국가들 생산량이 글로벌 전체 자동차 생산의 59.7%를 차지했다.
중국은 16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정부 주도 내수 진작책과 수출 장려 정책 덕에 전년 대비 3.7% 늘어난 3천128만대를 생산했다.
보고서는 한국의 자동차 산업이 내수 한계와 글로벌 경쟁 심화 등에 기반을 위협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올해 내수가 전년 대비 회복세를 보이더라도 잠재 수요가 적어 생산 확대 효과는 크지 않다는 것이 보고서의 주장이다.
또 올해 중국 업체가 세계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고 미국의 관세 부과 가능성까지 더해져 수출 감소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미국의 관세 정책이 완성차 기업은 물론 국내 제조 기업 전반의 해외 생산과 투자 확대를 가속할 것이라고 보고서는 예상했다.
KAMA 관계자는 "미래차 생산 및 설비 투자에 대한 세제 혜택 확대, 친환경차 보급 확대를 위한 내수 진작책과 더불어 국내 생산을 촉진·지원하는 '국내생산촉진세제'(가칭) 도입 등 정부의 특단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