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면 부족이나 불면증에 시달리는 사람은 음모론에 대한 취약성이 커질 수 있고, 여기에 우울증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노팅엄대 대니얼 졸리 교수팀은 1천여 명이 참가한 두 가지 실험에서 과거 한 달간 수면이 질이 나쁜 사람은 음모론 콘텐츠에 노출된 후 이를 지지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며 13일 국제 학술지 건강심리학 저널(Journal of Health Psychology)에서 밝혔다.
첫 번째 연구에서 이들은 실험 참가자 540명의 수면의 질을 평가하고 이들에게 2019년 프랑스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화재에 관한 음모론 기사와 이를 사실적으로 설명한 기사 등 두 건의 기사를 보여줬다.
각 기사에 대한 믿음 등을 조사했더니 과거 한 달 수면의 질이 좋지 않은 사람들은 수면의 질이 좋은 사람들보다 노트르담 대성당 화재에 대한 음모론을 믿을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575명을 대상으로 수면의 질 저하와 음모론적 신념 증가를 연결하는 근본적 메커니즘과 불면증이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지 조사했다.
그 결과, 수면의 질 저하와 불면증은 모두 음모론적 사고방식, 특정 음모론에 대한 믿음 등과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노와 편집증도 음모론적 신념에 영향을 미쳤지만 일관성은 떨어졌다.
졸리 교수는 "수면은 정신 건강과 인지 기능이 매우 중요하고 수면 부족은 음모론적 사고의 원인이 되는 우울증, 불안, 편집증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 연구는 수면의 질을 개선하면 음모론에 대한 취약성을 줄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