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제철이 전 임원 급여를 20% 삭감하고 전 직원을 대상으로 한 희망퇴직을 검토하는 등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했다.
중국발 저가 철강 공세와 내수 부진 가운데 지난 12일부터 트럼프 2기의 철강 25% 관세가 전격 시행되고 노조 파업까지 겹치자 특단의 조치를 내린 것이다.
현대제철은 14일 비상경영 체제 돌입을 선언하며 "지난 13일부로 전 임원의 급여를 20% 삭감하고 전 직원 대상 희망퇴직도 검토 중"이라며 "최근 국내외 심각한 위기 상황에서 강도 높은 자구책 없이는 경영 개선이 쉽지 않다는 판단에 따른 특단의 조치"라고 밝혔다.
현대제철은 '극한의 원가 절감' 차원에서 해외 출장 최소화 등도 추진할 예정이다.
이는 철강 업계의 위기 상황과 무관치 않다. 현대제철은 국내 건설경기 악화로 수요가 위축되자, 최근 포항 2공장 가동을 축소하고 이날까지 포항공장 기술직을 대상으로 희망퇴직과 당진제철소 및 인천공장 전환 배치를 신청받고 있다.
중국·일본의 저가 철강재가 국내 시장 점유율을 잠식한 가운데 후판과 열연 제품에 대한 반덤핑 제소를 진행하는 등 불공정 무역에도 대응 중이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후 무역장벽까지 높아져 현대제철의 위기는 심화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2일(현지시간)부로 한국산 철강 제품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현대제철은 지난해 9월부터 이어진 노조와의 임금협상에도 난항을 겪고 있다. 성과금 문제 등으로 협상이 공전하자, 노조는 최근까지 총파업과 부분·일시 파업 등을 이어가고 있다.
사측이 당진제철소 냉연공장 일부 라인에 대한 부분 직장폐쇄까지 단행했지만, 협상은 지지부진 했다.
노조는 당진제철소에서 전날 오후 7시부터 오는 20일까지 재차 부분 파업에 돌입한다.
현대제철 사측은 1인당 평균 2천650만원(기본급 450%+1천만원)의 성과금 지급안을 제시했지만 노조는 그룹사인 현대차의 '기본급 500%+1천800만원' 수준의 성과금을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제철은 "노사가 지난 13일 교섭을 재개했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협상이 결렬됐다"며 "향후 노사 갈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국내 산업계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된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관련뉴스